삼성전자가 지난 2분기 환율효과 없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거의 전 부문에 걸쳐 실적이 개선되고 시장 지배력이 한층 강화됐다는 평이다.
삼성전자는 6일 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31조~33조원, 영업이익은 2조2천억~2조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직접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그간 실적 발표를 앞두고 다양한 실적 전망들이 발표되며 시장에 혼란을 가져오고 있어 실적 발표전 예상 실적을 발표하게됐다"며 "앞으로도 분기 실적 발표 전 전망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밝힌 실적 전망치가 실제 2분기 실적과 차이가 발생할 수는 있지만 이미 종전 예상치를 크게 뛰어넘었다는 평이다.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이 내 놓은 예상 실적은 연결기준 1조~1조5천억원 사이다. 삼성전자 전망치를 최소로 잡아도 시장 예상치와 6천억원 가까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의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는 단연 휴대폰과 TV 등 세트 부문에서 시장 지배력을 늘린 덕분이다. TV부문에서는 LED TV 등 프리미엄급 제품들의 조기 출시와 이를 통한 시장 지배력 확대로 8천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이 예상되고 있다.
휴대폰 역시 2분기 다양한 가격대의 '풀터치폰'과 스마트폰, 메시징폰 등이 출시됐고 넷북 제품군이 다양해지며 시장 지배력이 높아지고 있다.
삼성전자 고위관계자는 "2분기 휴대폰은 판매량, 시장 점유율, 매출, 영업이익 모두 골고루 성장했다"며 "환율을 비롯해 여러가지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 부문에서 성장하며 시장 지배력을 높인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반도체와 LCD의 흑자전환도 예상된다. 반도체 가격의 상승과 조금씩 수요가 회복되고 있고 LCD 단가도 상승추세다.
LIG투자증권 김영준 애널리스트는 "DDR3 수요 확대로 DRAM이 현물가격 반등에 성공했고 PC 시장도 당초 예상대비 나쁘지 않다"며 "하반기에도 이 같은 회복세는 계속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는 3분기에도 삼성전자의 실적 호전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세트 부문에서 TV와 휴대폰이 2분기 말 발표한 신제품들을 앞세우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늘려갈 전망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