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문국현은 표면, 양당 충돌 향해 달리나


양당 강경파 득세, 협상 여지도 작아

문국현 '선진과창조의모임' 원내대표가 빌미가 돼 여야의 최종 협상이 파행됐다. 그러나 이 이면에는 각 정당의 정치적 셈법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한나라당은 '문 대표가 공천헌금 수수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만큼 교섭단체 대표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지만, 당 내부 기류와 관련이 커 보인다.

조정식 원내대변인은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 연설 이후 한나라당의 내부 사정이 복잡한 것 같은데 한나라당이 이를 빌미로 협상을 지연하거나 깨려하면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여야의 최종 합의에 들어간 홍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입지는 매우 작았던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다.

홍 원내대표는 지난 12월 31일과 1일에 걸친 원내대표 회동에서 한미FTA에 대해서는 2월 협의 처리하고, 미디어 관련법에 대해서는 합의 처리하도록 노력하는 방안으로 잠정 합의를 이뤘지만, 당내 분위기는 2일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 연설 이후 급격하게 강경화됐다.

이 대통령이 신년 연설에서 "이제 국회만 도와주면 국민 여러분의 여망인 경제 살리기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등 쟁점법안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공개적으로 주문하면서 친이계를 중심으로 홍 원내대표의 잠정합의안에 대한 질타가 이어진 것이다.

이에 홍 원내대표는 잠정 합의안을 무산시키고 야당에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는 옹색한 입장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문 대표 문제가 부각되면서 그는 당내 강경파를 설득하거나 야당에 거부의 명분을 찾을 시간을 벌 수 있게 됐다.

민주당 역시 이번 사태가 금쪽같은 시간을 벌어주는 상황이다. 민주당의 이날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은 강경한 목소리를 주문했다.

이미경 사무총장, 최영희 의원, 김상희 의원 등은 의총을 마치고 기자들에게 "쟁점법안에 대해 초심을 지키자는 주문이 쏟아졌다"면서 "쟁점법안에 대해 시한이 없는 합의 처리돼야 한다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이처럼 민주당도 당내 강경파들의 목소리가 커져 원혜영 원내대표 역시 협상 여지가 좁은 상황이었다. 결국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이날 최종 협상은 문 대표의 문제가 아니라도 어떤 합의도 하기 어려운 구조였던 것이다.

또한, 자유선진당은 이후 국회 파행의 책임에서 한발 비껴서는 효과를 누리게 됐다. 또한, 홍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협상 파트너로 다시 권선택 자유선진당 원내대표를 요구하면서 권 원내대표의 위상도 따라 높아지는 효과를 누리게 됐다.

일단 논란의 중심에 선 창조한국당은 원내 대표 교체는 없다고 강조하면서 이후 이용경 원내수석부대표를 통해 한나라당과 지속적인 접촉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석수 창조한국당 대변인은 "교섭 상대를 지정하여 협상을 하겠다는 것은 타자가 교체된 투수를 인정하지 않고 이전 투수를 다시 나오라는 것과 같다"면서 "비록 한나라당 내부 기류가 협상을 반대하고 대치 국면을 장기화하는 것이라도 홍 원내대표는 소통과 통합의 정치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고 홍 원내대표를 비판했다.

현재 거대 양당이 협상의 여지가 좁은 상황에서 김형오 국회의장이 직권상정을 하지 않겠다고 제시한 8일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모습이어서 여야의 소강상태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문국현은 표면, 양당 충돌 향해 달리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