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치폰의 바탕화면에 배치되어 편리함을 더한 위젯이 최근 출시되는 애니콜 및 SKY 단말기에 탑재되며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위젯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과거 개최된 각종 컨퍼런스에서 각광 받았는데, 이젠 당시의 예상이 현실화 되고 있는 것이다.
휴대전화에서 사용중인 위젯은 단말기 제조사가 공급하는 것과 이통사가 서비스하는 것, 크게 두 개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어떤 제품이 어떠한 위젯을 지원하는지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휴대전화 제조사가 제공하는 위젯
휴대전화에 기본으로 위젯을 탑재한 단말기가 최근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삼성전자의 햅틱, 햅틱2, 옴니아 등에 탑재되는 이 위젯은 휴대폰에 탑재된 전자사전, 지하철노선도, 메모장 등의 갖가지 부가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특히 바탕화면에 제공된 갖가지 소프트웨어 단축 버튼을 사용자가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일반 PC의 바탕화면이 사용자에 따라 제각각임을 감안할 때 휴대전화의 바탕화면 역시 향후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휴대전화 중 위젯을 지원하는 제품으로는 삼성전자의 햅틱, 햅틱2, 옴니아, 로모폰 등 총 4종과 팬택계열 IM-U310이 있다.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위젯

단말기용 위젯은 이통사에서도 제공하고 있다. KTF가 위젯 서비스를 가장 먼저 제공했다. 휴대전화의 바탕화면에 갖가지 위젯(미니)를 배치한 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쇼 위젯은 노출되는 콘텐츠의 업데이트 주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고, 단말기에 내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증권, 날씨, 뉴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쇼 위젯은 터치스크린 단말기가 시중에 출시되며 사용자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다.
SKT는 아이토핑이라는 이름의 위젯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아이토핑은 일반적인 정보성 콘텐츠를 보는것 외에도 지하철노선도, 게임, 기프트콘 등도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다만 모든 SKT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는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실제 사용자 평가
그렇다면 현재 위젯 서비스를 이용중에 있는 사용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햅틱폰으로 애니콜 자체 위젯을 사용하고 있다는 A씨(33세, 회사원)는 “다른 휴대폰에서 볼 수 없던 기능이라 신기해하면서 쓰고 있는 중이다”며 “생각보다 이용할 수 있는 메뉴가 많기 때문에 이 기능이 없는 휴대폰을 쓰라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햅틱 위젯과 아이토핑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은 단점이다”고 밝혔다. SKT의 아이토핑을 이용중에 있다는 또 다른 B씨(29세, 회사원)는 “휴대폰에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서 이용해야 하는 토핑이 너무 많아 불편한 감도 있지만 기능 자체가 특이한 것이 많아서 쓸만 하다고 생각한다”며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글 다나와 이진 기자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