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트럼프, EU에 '최소 15% 상호관세' 압박…협상 결렬 땐 30% 경고


EU ‘10% 유지’ 기대 무산…車 관세 25%도 그대로
회원국 간 보복관세 의견 엇갈려…8월 1일 시한 압박

[아이뉴스24 이한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서 EU산 제품에 대한 최저 관세율을 15∼20% 수준으로 올리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2023년 12월 당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아이오와주 워털루에서 유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이는 미국이 올해 4월부터 임시로 적용해온 상호관세율 10%를 유지하려던 EU의 기대와는 배치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EU가 요구해온 자동차 관세 인하에도 선을 긋고 기존 25% 수준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FT는 이 같은 방침을 미국·EU 협상 상황을 잘 아는 익명의 소식통 3명을 인용해 전하며, EU가 관세 인상 압박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은 최근 워싱턴DC를 방문해 미국 측과 협상을 진행한 뒤 회원국 대사들에게 "분위기가 좋지 않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 관계자도 FT에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상호관세율은 현행 10%를 초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8월 1일까지 마무리되지 않으면 EU산 제품에 최대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다.

EU는 협상이 결렬될 경우 보복 관세를 경고했지만, 실제 대응 방안을 두고는 회원국 간 이견이 적지 않다. 일부 회원국은 미국이 요구하는 15∼20% 관세를 사실상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지만, 독일 등 일부에서는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며 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이날 "미국은 여전히 부문별 관세 인하 방안에 회의적이며, 일부 품목만 예외로 두는 방안에도 비판적"이라며 "유럽은 이를 지지하지만, 미국은 쉽사리 동의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양측이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경우, 한·EU 교역에도 간접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한얼 기자(eol@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트럼프, EU에 '최소 15% 상호관세' 압박…협상 결렬 땐 30% 경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