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창재 기자] 대구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이 새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로 중대 기로에 섰다. 핵심인 안동댐 취수원 이전 방안이 전면 재검토 대상으로 떠오르면서 수십 년 끌어온 대구 물 문제 해결이 또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 대구시와 지역 정가에 따르면 최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환경부 금한승 차관이 “어느 한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이 맑은 물 하이웨이의 비용 문제와 추진 논리의 타당성 등을 지적한 데 따른 답변이었다.

안동댐 물을 대구까지 110㎞ 도수관로로 끌어오는 ‘맑은 물 하이웨이’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민선 8기 핵심 공약이자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1991년) 이후 30여 년간 이어진 대구 취수원 이전 논의의 최종 카드로 추진돼왔다.
하지만 이번 정부 출범 후 ‘취수원 다변화’ 원칙 외에 안동댐 이전에 대한 명확한 언급은 빠졌고, 각종 시민단체·지자체 반발과 국정혼란으로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는 끝내 열리지 못했다. 사실상 새 정부의 판단으로 공이 넘어간 셈이다.
앞서 대구시는 2022년까지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을 추진했으나, 민선 8기 출범 후 협정은 폐기됐다. 이후 안동댐으로 방향을 틀었지만 환경부의 전면 재검토 발언으로 또 다른 난관에 부딪힌 형국이다.
대구시는 한발 물러나 “이전지가 어디든 중앙정부가 조속히 결정해달라”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전지가 해평이든 안동이든 국정과제로 반영돼야 한다”며 “민원이 제기된다면 정부가 직접 나서서 설득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안동시 수자원정책과는 “재검토는 취소와 다르며, 안동시는 대구에 물을 공급할 의지가 있다”고 설명했고, 구미시는 “대구로부터 어떤 협의도 받은 바 없다”며 선을 그었다.
전문가들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오락가락하는 취수원 이전 논의는 시민 안전과 직결된 중대 사안이라는 점에서 일관성 있는 물 관리 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대구시는 안동댐 이전이 불투명해진 상황에서 구미 해평취수장 복귀 카드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10년 넘게 갈등을 빚은 해평안 역시 ‘실효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대구시민의 식수 안전을 위한 취수원 이전 사업이 또다시 표류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새 정부의 물 정책 방향과 정치적 결단이 향후 향방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대구=이창재 기자(lcj123@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