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권서아 기자] 가정에서 사용되고 배출되는 종이팩을 택배 물류망을 통해 회수해 재활용하는 사업이 시행된다.
이를 위해 환경부, CJ대한통운, 카카오, 매일유업, 한솔제지 등 관계자가 15일 오전 한솔제지 대전공장에서 '온라인 플랫폼 활용 종이팩 택배회수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5일 한솔제지 대전공장 대회의실(대전광역시 대덕구)에서 열린 업무협약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카카오 우영규 대외협력 성과리더, 매일유업 고정수 부사장, 환경부 김완섭 장관, 한솔제지 한경록 대표이사, CJ대한통운 윤진 한국사업부문 대표. [사진=CJ대한통운]](https://image.inews24.com/v1/067618ce070a77.jpg)
이번 협약은 전국 가정에서 배출되는 종이팩과 멸균팩을 CJ대한통운의 오네 배송 네트워크를 활용해 수거, 재활용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매일 문 앞 수거가 가능한 상시 회수 체계를 도입함으로써 누구나 일상에서 손쉽게 재활용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종이팩, 특히 멸균팩은 고급 펄프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분리배출 어려움 등으로 재활용률이 낮은 품목이다.
종이팩과 멸균팩은 일반 종이류와 분리해 종이팩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하지만 이러한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은 데다 수거함이 설치되지 않은 곳도 많아 재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종이팩 재활용률은 13%에 불과하다. 각 가정에서 택배를 활용한 수거가 가능해질 경우 재활용률이 대폭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다.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종이팩을 박스에 담아 문 앞에 두고, 카카오메이커스 앱에서 수거를 신청하면 CJ대한통운 배송기사가 방문해 회수한다.
누적 수량이 많아질수록 쿠폰이나 유제품 등 리워드도 제공된다. 참여 희망자는 19일 오후 5시부터 카카오메이커스 앱 내 '새가버치' 페이지에서 참여하기를 누르면 된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재활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수거 효율을 대폭 높였다.
각 기관은 활발한 자원순환 및 재활용을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수거가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국민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를 지원한다.
카카오는 신청부터 회수까지 간편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카카오메이커스 내 전용 페이지를 운영한다. 매일유업은 자사 제품 리워드를 제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한솔제지는 수거된 종이팩을 고급 종이 원료로 재활용한다.
CJ대한통운은 촘촘한 '오네(O-NE)' 물류망을 기반으로 전국 어디서나 매일 수거가 가능한 시스템을 운영하며 자원순환의 편의성을 높인다.
참여 기관들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5월부터 2년간 총 200톤의 종이팩이 수거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소나무 약 4000그루를 보호하는 자원순환 효과에 해당한다.
앞서 CJ대한통운은 지난 2023년부터 전국 1만여 곳 이상의 어린이집에서 배출되는 종이팩을 수거해 재활용하는 자원순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지금까지 총 107톤의 종이팩을 수거했다.
윤진 CJ대한통운 한국사업부문 대표는 "CJ대한통운의 오네(O-NE) 인프라가 결합되며 전 국민 누구나 쉽게 생활 속 자원순환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환경과 공동체를 위한 물류의 가치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권서아 기자(seoahkwo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