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뉴스24 배정화 기자] 정의당 제주도당은 16일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깊은 애도의 뜻과 함께 “참사 없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책임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의당은 2025년 새해 첫 공식 일정으로 목포 신항 세월호 선체 앞에서 유가족들과 합동 차례를 지내며 희생자들을 추모한 바 있다.
제주도당 16일 성명을 내고 “11년의 시간이 흘렀어도 그날의 충격과 슬픔은 여전히 생생하다”며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제주도당은 “하루아침에 가족을 잃은 유족들께 공당으로서 더 안전한 나라를 만들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끝까지 기억하고 연대하겠다”고 밝혔다.
제주도당은 이천 물류창고 화재,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차도 침수, 아리셀 화재,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등 유사 참사 피해자들과도 함께 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세월호 참사 이후 제정된 선박안전법 제74조를 기반으로 지난해 3월 ‘스텔라데이지호’ 사건 관련 대법원 판결이 이뤄진 점에 경의를 표했다.
이날 성명에는 고(故) 한재명 민간 잠수사의 사례도 언급됐다.
제주도당은 “김관홍법이 통과됐지만 정작 한재명 잠수사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고, 해양경찰청 지침 변경으로 의료비마저 끊겨 해외 산업잠수사로 생계를 이어가다 결국 세상을 떠났다”며 “남은 민간잠수사들을 위한 지원법 개정과 지침 재정비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행정안전부와 지방 경찰청 등 국가·지방 공무원들의 책임 이행을 강조하며 “관련 인력과 예산 확보는 물론, ‘생명안전권’을 헌법에 명시하는 개헌 논의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주도당은 세월호 진실 규명의 미완이라는 현실도 지적했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당일 7시간 행적이 담긴 대통령기록물이 황교안 권한대행 시절 30년간 봉인된 사실을 언급하며 “대법원의 공개 판결에 따라 해당 기록이 국민 앞에 명백히 드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도당은 마지막으로 "세월호는 인양됐지만, 진실은 아직 인양되지 못했다”면서 “더는 황망한 이별과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배정화 기자(bjh9881@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