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설래온 기자] 세계 당뇨병 환자 수가 30년 전인 1990년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 8억명에 육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계 당뇨병 환자 수가 1990년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내용과 무관한 사진. [사진=픽사베이ⓒTesaPhotography]](https://image.inews24.com/v1/4cccd90d146813.jpg)
13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는 영국 의학 학술지 란셋에 발표된 연구를 인용해 세계 당뇨병 환자 수가 지난 1990년 이후 약 4배 증가해 현재 8억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990년 이후 건강에 해로운 음식의 소비 확대와 비만 증가, 신체활동 부족, 경제적 어려움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당뇨병 환자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치료를 받지 못하는 30세 이상 환자 수도 1990년의 3.5배로 증가한 4억 5000만여명에 달했다. WHO는 전체 환자의 59%가량이 치료 없이 당뇨를 앓고 있는 셈이라고 부연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동남아시아와 동부 지중해 지역의 성인 당뇨병 유병률이 평균을 크게 웃도는 20%대로 나타났으며, 아프리카와 함께 당뇨병 치료율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WHO는 중·저소득 국가와 선진국 간의 당뇨병 치료율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2030년까지 당뇨병 환자의 80% 이상이 혈당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테워드로스 총장은 "당뇨병을 통제하기 위해 각국은 긴급하게 조치를 취해야 한다. 건강한 식단과 신체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예방·조기 진단·치료를 제공하는 보건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 당뇨병 환자 수가 1990년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내용과 무관한 사진. [사진=픽사베이ⓒTesaPhotography]](https://image.inews24.com/v1/46593210799e9a.jpg)
한국 당뇨병학회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가 600만명, 당뇨병 고위험군이 1500만명에 달하고 있어 국내 당뇨병 환자도 증가 추세라고 밝힌 바 있다.
질병관리청은 당뇨병 예방을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일주일에 3번 이상의 운동, (특히 기름이 많은 음식은 제외한) 균형 잡힌 식사, 정기적인 건강 검진 등을 실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설래온 기자(leonsig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