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올해 7월 ICT 수출입…72억8000만 달러 흑자


반도체‧휴대폰 등 주요 품목 증가로 ICT 수출, 9개월 연속 성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올해 7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194억 달러, 수입은 121억2000만 달러로 무역수지는 72억8000만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ICT 수출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와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전반의 수출 증가 지속으로 올해 4월부터 4개월 연속 30%대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49.0%↑), 디스플레이(2.0%↑), 휴대폰(69.4%↑), 컴퓨터·주변기기(51.1%↑) 등 주요 품목 전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1.1%↑), 베트남(23.7%↑), 미국(40.1%↑), 유럽연합(23.5%↑) 등 주요 지역 수출도 대부분 늘었다.

ICT 수입(121억2000만 달러)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요 부품의 증가로 지난해 같은 기간(114억4000만 달러) 보다 6.0%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
올해 7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72억8000만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사진=과기정통부]

반도체(112억3000만 달러, 49.0%↑) 수출은 인공지능(AI) 시장 성장, IT기기 시장 회복에 따른 반도체 수요 확대 등으로 전체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메모리는 고정 거래가격 상승, HBM 등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반도체 수출 증가폭을 확대했다.

디스플레이(19억3000만 달러, 2.0%↑) 분야에서는 TV·PC 등 전자기기 수요 회복세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중심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은 12개월 연속 증가했다.

휴대폰(12억3000만 달러, 69.4%↑)은 중국(홍콩 포함), 베트남 등 주요 휴대폰 제조 지역을 중심으로 부분품(10억2000만 달러, 107.7%↑) 수출이 많이 증가하며 휴대폰 수출을 이끌어 전체 휴대폰 수출은 두 자릿수 늘었다.

컴퓨터·주변기기(13억1000만 달러, 51.1%↑)는 서버·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주요 저장장치인 SSD(9억7000만 달러, 82.5%↑) 수요가 지속 확대되며 전체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은 7개월 연속 증가했다.

통신장비(1억9000만 달러, 2.4%↓)는 미국(4000만 달러, 35.7%↑) 등 일부 지역은 증가했는데 중국(홍콩 포함, 2000만 달러, 19.4%↓), 베트남(4000만 달러, 13.6%↓) 등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줄었다.

수입은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60억4000만 달러, 16.4%↑), 디스플레이(5억 달러, 14.2%↑)는 증가했고 컴퓨터·주변기기(11억9000만 달러, 1.2%↓), 휴대폰(7억5000만 달러, 2.4%↓)은 감소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올해 7월 ICT 수출입…72억8000만 달러 흑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하는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하는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하는 반상권 방미통위 위원장 직무대리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하는 반상권 방미통위 위원장 직무대리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하는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하는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
예결위 질의에 답변하는 김민석 국무총리
예결위 질의에 답변하는 김민석 국무총리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
원내대책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 참석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발언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발언하는 송언석 원내대표
퍼펙트 글로우 'K-뷰티 전문가 총출동'
퍼펙트 글로우 'K-뷰티 전문가 총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