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감미료 첨가가 적은 게 있고, 카페인이 적은 제품에, 가격이 저렴한 ‘제로 음료’가 있다. 나에게 맞는 제로 음료는 무엇일까.
식품 시장에 제로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단맛을 즐기며 설탕 섭취는 줄일 수 있는 제로 음료에 대한 수요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제로 음료 시장 규모는 2018년 1630억원에서 2023년 1조 2780억원으로 7.8배 성장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제로 음료 14개 제품의 감미료와 당류 함량, 중금속 등 안전성을 시험하고 표시 실태와 가격 등을 조사했다.
시험 결과 제로 음료의 당류 함량은 ‘제로슈가’ 표시 기준에 적합했고 설탕 대신 첨가한 감미료는 일일섭취허용량(ADI) 대비 3~13%로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제로 음료의 열량은 일반 탄산음료의 1~22%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이어트를 위해 일반 음료의 대체품으로 섭취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콜라형 제로 음료의 카페인 함량은 기준에 적합했는데 일반 음료와 같은 수준이었고, 제품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시험대상 제로 음료 전 제품이 설탕의 200~600배 단맛을 가지는 고감미도 감미료인 아세설팜칼륨과 수크랄로스를 사용하고 있었다.
아세설팜칼륨은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가 100㎖당 20㎎으로 가장 많았다. ‘밀키스 제로(롯데칠성음료)’와 ‘칠성사이다 제로(롯데칠성음료)’가 7㎎으로 가장 적었다.
수크랄로스는 ‘스프라이트 제로(코카-콜라음료)’와 ‘맥콜 제로(일화)’가 100㎖당 27㎎으로 가장 많았다.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와 ‘칠성사이다 제로(롯데칠성음료)’가 14㎎으로 가장 적었다.
감미료는 안전한 사용을 위해 일일섭취허용량(ADI)이 설정돼 있는데 시험대상 제품 1개의 아세설팜칼륨과 수크랄로스 함량은 성인(체중 60㎏) 기준 ADI 대비 3~13%로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감미료를 ‘다이어트와 질병 저감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고 있어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는 가급적 감미료 첨가 음료의 섭취를 줄이고, 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류는 ‘밀키스 제로(롯데칠성음료)’ 제품이 100㎖당 0.4g, 나머지 13개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시험대상 전 제품이 ‘제로슈가’ 관련 표시 기준에 적합했다. 제로 음료의 당류 함량(불검출~0.4g)은 일반 가당 탄산음료(100㎖당 10g)와 비교했을 때 매우 적은 편이었다.
열량은 시험대상 14개 제품 중 13개가 100㎖당 3㎉ 이하였고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 1개 제품은 100㎖당 9㎉였다. 제로 음료 1개의 열량은 2 ~32㎉로 일반 가당 탄산음료(1개당 144㎉)와 비교했을 때 1~22% 수준으로 적은 편이었다.
시험대상 중 콜라형 제로 음료 4개 제품이 100㎖당 3~13㎎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었다. ‘펩시 제로슈가 라임(롯데칠성음료)’이 100㎖당 13㎎으로 가장 많았고 ‘노브랜드 콜라 제로(이마트)’가 100㎖당 3㎎으로 가장 적었다.
콜라형 제로 음료의 카페인 함량은 일반 가당 콜라(100㎖당 10㎎)와 큰 차이가 없어 평소 카페인에 예민한 소비자나 어린이는 섭취할 때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어린이(체중 30㎏)는 카페인이 가장 많이 첨가된 제품(46㎎)을 하루 2캔 이상 섭취할 경우, 최대 일일섭취권고량(75㎎)을 초과할 수 있다.
식용색소(타르색소), 보존료(안식향산, 소브산) 등 식품첨가물, 중금속(납, 카드뮴), 미생물(세균수, 대장균군) 등 안전성 시험 결과, 시험대상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가격은 100㎖당 ‘노브랜드 콜라 제로(이마트)’가 14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가 630원으로 가장 비쌌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