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임양규 기자] 충북시민단체가 공립 대안학교인 (가칭)단재고등학교 교육과정에 IB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는 충북교육청을 규탄하고 나섰다.
IB는 스위스에 본부를 둔 비영리교육재단 ‘IB 본부’가 개발·운영하는 국제 인증 학교 교육 프로그램이다.
단재고 정상개교를 위한 도민행동과 충북교육연대는 23일 충북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한다는 이유로 지난해 4월 충북교육청은 수많은 교사, 학부모, 시민사회 단체 반대에도 5년간 준비한 단재고 개교를 일방적으로 연기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윤건영 충북교육감에게 단재고 개교를 위한 대화와 타협을 요구했으나, 도교육청은 불통과 독선의 끝을 보여주며 밀어붙이기식으로 개교 연기를 강행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교육청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도민 의견을 수렴하고 토론, 수정, 보완하며 함께 만들어야 했다”며 “학생 모집을 불과 두 달 전 배포한 안내자료에는 단재고만의 차별화된 교육과정은 눈 씻고 봐도 찾을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특히 단재고 교육과정에 IB 교육과정을 도입하려 하는 것이 가장 우려스럽다”며 “입시 경쟁교육을 강조해 온 윤 교육감과 도교육청은 초등학교조차 학력 서열화를 부추기는 총괄평가를 강제로 시행하려다 학교 학급 자율시행이라며 얼버무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IB 교육과정도 다른 시·도 IB학교의 대학입시 실적이 높다는 결과가 언론에 발표되자 추진된 점을 보면, IB프로그램도 입시경쟁 교육의 방편임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견에 대해 도교육청은 “개교 연기와 실체 없는 단재고 미래교육과정, 기만적인 IB 도입 교육 공공성 훼손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도교육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22년 12월 단재고 교육과정 재설정이 결정돼 지난해 3~5월 △기존 대안교육연구회와의 간담회 △도교육청 관계부서 검토 △교육부 유선 컨설팅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설명 △가덕면 기관단체장 협의회 대상 설명 등을 통해 개교 연기 과정을 안내했다”고 부연했다.
단재고 교육과정 졸속 추진이란 지적에 대해선 “교육과정 재설정이 결정되고 지난해 7월부터 교과별 교육과정 전문가, 도내외 대안교육 전문가, 교원단체 추천자 등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가칭)단재고 교육과정 재설정 TF(태스크포스)’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달 최종 검토 과정을 거쳐 교육과정이 완성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