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권용삼 기자] 지난해 국내 대기업 총수들의 경영 성적을 분석한 결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매출, 당기순이익, 고용 등 3개 항목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영업이익 항목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은 19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올해 발표한 공정자산 규모 5조원 이상 88개 대기업의 2023년 경영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 회장은 그룹 전체 매출, 당기순이익, 고용 등 3개 항목에서 1위에 올랐다. 삼성은 지난해 그룹 전체 매출 358조9158억원, 당기순이익 43조5071억원, 고용 인원 27만8284명을 기록했다.
정 회장은 그룹 전체 영업이익 항목에서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 국내 계열사 70곳을 둔 현대차 그룹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8조259억원을 기록했다. 해당 기간 영업이익 10조원을 웃돈 대기업은 현대차 그룹뿐이다. 매출(285조2336억원), 당기순이익(20조5149억원), 고용(19만7727명) 항목에서는 삼성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매출(200조9306억원)과 영업이익(3조8841억원) 등 2개 항목에서 3위를 기록했다. 그룹 매출은 3년 연속 3위였지만, 영업이익은 1계단 내려왔다.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그룹 전체 영업이익(4조5109억원) 2위, 당기순이익(3조3723억원) 3위 등의 호성적을 거뒀다. 크래프톤의 장병규 의장은 그룹 전체 영업이익률(42.7%)과 순이익률(38%)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한국CXO연구소 '2023년 그룹 총수 경영 성적 분석' 요약. [사진=한국CXO연구소]](https://image.inews24.com/v1/fccd67ab0e2487.jpg)
2022년 대비 2023년 그룹 전체 매출 증가율에서는 부동산 개발 등으로 성장한 엠디엠그룹의 문주현 회장이 1위에 올랐다. 문 회장은 2022년 7558억원이던 그룹 매출을 지난해 1조8413억원으로 143.6% 늘렸다. 특히 계열사 중 ㈜엠디엠 매출이 131억원에서 8814억원으로 급증했다.
그룹 전체 영업이익 증가율은 장영신 애경그룹 회장(165.4%), 순이익 증가율은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3612.4%)이 각각 1위였다. 그룹 전체 고용 증가율 1위는 박성수 이랜드그룹 회장으로 나타났다.
/권용삼 기자(dragonbuy@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