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고물가·고금리에 중산층마저 휘청…5집 중 1집은 적자 살림


소비·이자 등 지출 증가
근로소득은 뒷걸음질 쳐

inews24

[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여파에 근로소득 감소까지 영향을 미치면서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다. 적자 가구 비율은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경우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해 18.2%를 기록했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포인트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소득 상위 20~60% 가구는 중산층으로 분류된다. 이는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뜻이다.

5분위 가구(소득 상위 20% 이상)에서도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 포인트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2분위(상위 60∼80%)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포인트 증가한 28.9%였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포인트 감소해 60.3%로 개선됐다.

적자 살림 가구가 증가한 배경에는 고금리·고물가의 장기화와 소득 증가 부진 등이 꼽힌다.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이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000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000원(1.1%) 줄며 뒷걸음질 쳤다. 통계청은 이에 따라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고물가·고금리에 중산층마저 휘청…5집 중 1집은 적자 살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야당 위원들과 인사 나누는 추미애 위원장
야당 위원들과 인사 나누는 추미애 위원장
발언하는 추미애 법사위원장
발언하는 추미애 법사위원장
국회 법사위 주재하는 추미애 위원장
국회 법사위 주재하는 추미애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법 개정안 제출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법 개정안 제출
장동혁 신임 당대표 기자회견
장동혁 신임 당대표 기자회견
기자회견 참석하는 장동혁 신임 당대표
기자회견 참석하는 장동혁 신임 당대표
기자회견하는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
기자회견하는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
[아이포토]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 당선
[아이포토]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 당선
국민의힘 당 대표에 장동혁 당선
국민의힘 당 대표에 장동혁 당선
기념촬영하는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
기념촬영하는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