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지난해 말 가상자산 시총 43.6조…반년 만에 53%↑


수수료 무료 정책·해외 현물 ETF 기대 영향

[아이뉴스24 정태현 기자] 지난해 말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반년 새 53% 급증했다. 미국 내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기대로 국내외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투자심리가 회복한 영향이다.

16일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공개한 '2023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43조6000억원으로 6월 말 28조4000억원보다 53% 증가했다.

2021~2023년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 [그래프=금융위원회 ]
2021~2023년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 [그래프=금융위원회 ]

일부 사업자의 거래 수수료 무료 정책으로 거래량이 증가한 영향이다. 국내외 호재가 발생해 비트코인 중심으로 가격과 거래량이 오른 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말 기준 글로벌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2143조원으로 직전 반기 대비 39% 증가했다.

지난해 8월 해외 가상자산업계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에서 승소한 뒤, 가상자산 가격은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기대로 상승세를 탔다.

지난해 하반기 매출액은 5800억원으로 상반기 5747억원 대비 1%(53억원) 증가했다. 전체 매출 중 거래 수수료 비중은 원화마켓과 코인마켓이 각각 99%, 92%로 나타났다. 거래 수수료 매출이 0인 사업자는 다섯 곳이었다. 거래가 없던 사업자 네 곳과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한 사업자 한 곳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8%(413억원) 늘어 2693억원을 기록했다. 원화마켓은 2968억원 이익을 냈고, 코인마켓은 275억원 손해를 봤다.

지난해 하반기 원화마켓은 신규 거래 지원(상장)이 직전 반기 대비 70% 늘어 155건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인마켓의 거래 중단(상장 폐지)은 82% 증가해 14건으로 나타났다. 완전 자본잠식인 사업자는 15개다. 직전 반기 완전 자본잠식에서 하반기 영업을 중단한 사업자는 두 곳이다.

지난해 12월 월별 이용자 원화예치금은 4조9000억원으로 6월 말 대비 21%(99000억원)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22개 거래소와 7개 지갑·보관업자 등 총 29개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정태현 기자(jth@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난해 말 가상자산 시총 43.6조…반년 만에 53%↑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김희정, 빛나는 흑진주 자태
김희정, 빛나는 흑진주 자태
한지현, 밀착 드레스도 헐렁한 슬랜더 몸매
한지현, 밀착 드레스도 헐렁한 슬랜더 몸매
레드벨벳 예리, 새 소속사에서 배우 김예림으로
레드벨벳 예리, 새 소속사에서 배우 김예림으로
김진우, 왕자님 비주얼
김진우, 왕자님 비주얼
예지원, 관리퀸의 우아한 드레스자태
예지원, 관리퀸의 우아한 드레스자태
한지은, 고품격 섹시미
한지은, 고품격 섹시미
브브걸 유나, 시원한 뒤태 노출 드레스
브브걸 유나, 시원한 뒤태 노출 드레스
한선화, 러블리 노랑 드레스
한선화, 러블리 노랑 드레스
영화감독으로 BIFAN 찾은 장동윤
영화감독으로 BIFAN 찾은 장동윤
김향기, 소녀에서 숙녀로⋯확 달라진 스타일
김향기, 소녀에서 숙녀로⋯확 달라진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