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뉴스24 김보선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을 사실상 거부하자, 여야간 '네 탓 공방'이 격해지고 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옹졸하다며 거듭 압박하고 있지만, 대통령실이 응답할 가능성은 극히 낮아 보인다. 이미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연목구어'라며 일축한 것이 사실상 윤 대통령 의중을 대변한 것이라는 평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4일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야당이 거듭 영수회담 제안에 나서는 데 대해 "기존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대통령실 다른 핵심 관계자도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과 관련해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민주당은 이날도 "야당 모욕을 멈추고 민생을 위한 영수회담에 응답하라"면서 "결국 국민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김기현 대표가 "여야 대표 회담부터 응하라"고 맞선 데 대해 "왜 여당이 대통령실을 대신해 나서는지 의아하다"고 직격했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여당 지도부의 거친 막말이 '윤석열 대통령의 불편한 심기'를 대변하는 것인가"라며 김 대표를 비판했다. 이어 "대통령이라면 야당이 제안한 대화와 타협의 장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국민은 정치가 정쟁을 멈추고 민심을 받아들여 먹고사는 문제에 몰두하길 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과 여야 '영수회담 갈등' 배경은 '이재명 영장 기각'이라는 변수에서 시작된 하반기 정국 주도권 싸움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발판을 마련한 이 대표가 윤 대통령을 지목해 '민생회담'을 앞세워 반전에 나섰다는 것이다. 여당도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국면 전환을 맞았다는 해석을 경계하는 눈치다.
전주혜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 대표 사법 리스크가 사라진 게 아니라고 강조하면서 "'개딸'이 아닌 절대 다수 일반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은 불구속 수사 원칙을 존중한다는 차원인 것이지, 혐의가 증발되는 것도 없어지는 것도 아니다"라며 "사법 리스크를 덮기 위한 정쟁에서 민생으로 돌아와 약속을 지키는지 국민들이 지켜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야 간 거친 공방이 계속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이 이 대표의 제안에 응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통화에서 "대통령실 입장은 굳이 들을 필요가 없다. 이미 김기현 대표가 다 얘기를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김 대표의 발언은) 이 대표 사법 리스크는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제한 것"이라며 "범죄자가 왜 대통령을 만나려고 하는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읽힌다"고 풀이했다.
이 평론가는 "국가 전체를 보면, 당장 대통령이 추진하려는 여러 공약 사업에 관한 입법도 (야당과의 갈등으로) 제대로 진행이 안 되고 있다"면서 "(윤 대통령으로서는)이를 성사시키고 국정 성과를 낼 수 있게끔 노력하는 게 마땅하지만 (윤 대통령이) 그럴 가능성은 거의 제로(0)"라고 전망했다.
/김보선 기자(sonntag@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