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정부의 '2023 경제정책방향'을 두고 경영계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구조 개혁과 규제 혁신을 통한 우리 경제의 체질 개선과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한 국민과 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적절히 설계됐다는 분석이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김성진 기자]](https://image.inews24.com/v1/103b8f737805ce.jpg)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내년도 경제정책방향 브리핑을 열고 내년 경제정책 운용 방향으로 거시경제 안정, 민생경제 회복, 민간 활력 제고, 미래 대비 체질 개선 등 4대 분야를 제시했다. 또 부동산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한 다주택 중과세·대출 규제 완화와 공공요금 현실화, 취약계층 지원 방안 등의 주요 정책도 함께 소개했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1.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한국은행(1.7%) 등보다 낮은 1.6%로 제시했다. 지난 6월 정부가 '하반기 정책방향'에서 발표한 전망치 2.5%보다 0.9%포인트(p)나 눈높이를 낮춘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날 공식 입장문을 통해 "1%대로 예상되는 낮은 내년 성장률과 수출 감소, 투자·고용 부진 등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노동, 규제, 조세 등 분야에서 기업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대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적극 협력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반도체, 미래차 등 세계가 경쟁하는 첨단전략산업 분야에서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같은 세제 개편안에 대해 국회가 보다 전향적으로 판단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규제 혁신과 구조 개혁이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 노동계 등과 적극적으로 대화,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