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성과급·상여금에 희비"…업종·규모별 임금 격차 커졌다


상반기 근로자 임금 평균 6.1%↑…정액급여 대비 특별급여 인상 두드러져

[아이뉴스24 서민지 기자] 올해 상반기 근로자 임금이 평균 6.1% 오른 가운데 성과급, 상여금 등으로 인해 임금 격차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용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6.1% 올랐다.

인상률은 업종과 규모별로 큰 격차를 보였다. 성과급이나 상여금을 포함한 특별급여 인상률 차이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서울 도심 빌딩 스케치 [사진=정소희 기자]
서울 도심 빌딩 스케치 [사진=정소희 기자]

2022년 상반기 월평균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384.8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작년 인상률(4.2%)보다 1.9%p 높아진 것이다. 임금 구성항목별로는 정액급여 인상률은 4.1%로 작년 인상률(3.1%)보다 1.0%p 오른 반면, 특별급여 인상률은 19.1%로 작년 인상률(11.8%)보다 매우 가파르게 늘었다.

상반기 기준 300인 이상 사업체 월평균 임금총액 인상률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9.8%로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00인 미만은 4.8%로 300인 이상 사업체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는 특별급여 인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별급여 인상의 경우 최소 4.9%에서 최대 26.2%로 격차가 컸다. 반면 정액급여의 규모별 인상률(최소 3.5%~최대 4.9%)은 차이가 작았다.

상반기 월평균 임금총액 인상률은 업종마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률이 가장 높은 업종은 제조업(8.5%), 가장 낮은 업종은 수도·하수·폐기물·원료재생업(1.6%)으로, 두 업종 간 인상률 격차는 6.9%p였다.

작년 상반기 대비 정액급여 인상률은 업종별로 1.4~6.5%, 특별급여 인상률은 8.1% 감소에서 31.7% 증가로 나타났다. 업종별 인상률 격차 역시 정액급여(5.1%p)보다는 특별급여(39.8%p)에서 두드러진 셈이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좋은 실적을 거둔 기업이 근로자들에게 성과 보상을 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문제가 없다"면서도 "일부 업종과 기업을 중심으로 한 고액의 성과급이 그렇지 못한 기업의 근로자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주고 사회적 격차를 한층 심화시킬 수 있는 만큼 합리적 수준에서 조정·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민지 기자(jisse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성과급·상여금에 희비"…업종·규모별 임금 격차 커졌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주지훈, 멋스러움
주지훈, 멋스러움
아이유, 남다른 아름다움
아이유, 남다른 아름다움
아이유, 빛나는 아름다움
아이유, 빛나는 아름다움
김민하, 화사한 미소
김민하, 화사한 미소
이요원, 서울드라마어워즈 왔어요
이요원, 서울드라마어워즈 왔어요
영탁, 시상식 왔어요
영탁, 시상식 왔어요
서현, 우아한 자태
서현, 우아한 자태
츄, 예쁨 가득
츄, 예쁨 가득
츄, 러블리
츄, 러블리
안나 조블링, 시선 사로잡는 자태
안나 조블링, 시선 사로잡는 자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