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대정부질문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 관련 질의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사진=뉴시스]](https://image.inews24.com/v1/3f165dc0a6f5a2.jpg)
[아이뉴스24 정호영 기자] 22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방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짧은 만남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이 XX 저 XX는 윤 대통령이 대화 도중 늘상 사용하는 관용어구, 추임새 같은 것인가 보다"라며 "사고는 대통령이 쳤는데 부끄러움은 대한민국 온 국민의 몫"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앞서 윤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각) 뉴욕의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에 참석, 행사 종료 후 바이든 대통령과 48초간 짧은 환담을 나누고 회의장을 나오며 박진 외교부 장관 등에게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냐'고 말해 논란을 자초했다. '국회'는 미 의회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카메라에 포착된 윤 대통령의 해당 비속어는 그대로 언론에 공개됐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대한민국 국격이 무너졌다"며 "대통령 표현을 빌리면 우리 국민이 대통령 때문에 정말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한덕수 국무총리를 호명하고 "(윤 대통령의) 영상을 보셨는가"라고 물었다. 한 총리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오전에 일정이 너무 많아 정확하게 보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초유의 외교 참사를 저질렀는데 그 사건보다 더 급한 일정이 무엇이었나"라며 추궁을 이어갔다.
한 총리는 윤 대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시점, 정황이 불명확하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그는 "(대통령이) 어떤 상황에서 저런 말씀을 하셨는지 명확하게 단정할 수는 없다"며 "(대통령실) 보고는 받았지만 저 문제에 대해서 저런 주장과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지, 어떤 내용을 명확하게 들은 사람은 드문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다른 자리도 아니고 미국 대통령과의 공식 행사장에서 미국 국회는 '이 XX', 미국 대통령은 '쪽팔려' 한방으로 보내버렸다.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물었다. 한 총리는 "(영상에서) '무슨 이야기인지 정확하게 들리지 않는다'고 말하는 분도 많다"며 즉답을 피했다. 김 의원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대정부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사진=뉴시스]](https://image.inews24.com/v1/9fbd27e5322e4a.jpg)
앞서 대통령실이 윤 대통령의 발언을 '사적 발언'이라고 해명한 것을 두고 김 의원은 "바이든 대통령과 한 행사장 안에 있을 때 벌어진 일인데 사적 자리인가", "공개적인 행사장에서 대통령과 장관이 나눈 대화가 사적 발언이 될 수 있나"라며 한 총리를 몰아붙였다.
한 총리는 "(영상을 보면) 바이든 대통령은 보이지 않는다"며 "정식 회의장은 아닌 것 같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공개된 행사장 안이었다"며 "바이든과 직접 만나는 자리에서 그랬으면 가당키나 한 이야기인가. 바이든 앞에서 그렇게 말했다면 외교 참사가 아니라 망하는 것 아닌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미 의회와 대통령에게 한 욕설과 비속어 때문에 외교적 부담이 커질 것 같은데 어떻게 대처하겠나"라는 김 의원 질문에 한 총리는 "(상황을) 의원님께 듣고 있다. 깊이 생각해보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이른바 '48초 만남'도 거론됐다.
김 의원은 한 총리에게 "48초 스탠딩 환담이 한미정상회담의 전부인가, 또 다른 계획이 있는가"라고 물었다. 한 총리는 "(행사 끝나고) 바로 리셉션도 있었을 것"이라며 "리셉션에서는 더 여유를 갖고 바이든 대통령과 이야기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윤 대통령은 앞선 행사 참석 후 바이든 대통령 주최 리셉션에 참석했다.
이에 김 의원은 "리셉션장에서 만난 동영상 공개할 수 있나. 리셉션에서 더 많은 대화가 있었다는 것을 입증할 자료가 있나"라고 물었고, 한 총리는 "그건 대통령실에 확인하시라"며 선을 그었다.
/정호영 기자(sunrise@inew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