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수도권 쏠림' 심화…청년 구직자 4명 중 3명 "지방근무 싫다"


취업 시 중요한 조건은 연봉·근무지역…"연봉 1천만원 높으면 지방 근무 선택"

[아이뉴스24 서민지 기자] 인구와 일자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해지는 가운데 청년 구직자 4명 중 3명은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수도권에 거주하며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 301명을 대상으로 '지방근무에 대한 청년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방 근무를 기피하냐는 질문에 49.2%가 '다소 그렇다', 23.6%가 '매우 그렇다'고 응답했다고 7일 밝혔다.

반면 '별로 상관없다'와 '전혀 상관없다'는 응답은 각각 22.6%와 4.6%로 집계됐다.

서울 도심 빌딩 스케치 [사진=정소희 기자]
서울 도심 빌딩 스케치 [사진=정소희 기자]

비수도권 회사에 실제로 입사 지원하는지를 묻자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34.5%에 달했다. 아무리 조건이 좋은 회사여도 지방에 있으면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가급적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1.6%를 차지했고, 공기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지원한다는 응답은 19.6%였다. '지역에 상관없이 지원한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가족·친구 등 네트워크가 없어서'(60.7%)가 가장 많이 꼽혔다. 또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해서'(59.8%), '주거·생활비가 부담돼서'(48.9%)가 주를 이뤘다. 이어 '원하는 직장이 없어서'(14.2%), '성장기회가 부족해서'(6.8%), '결혼·자녀교육이 어려워서'(5.0%) 순이었다.

실제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청년인구는 약 9만1천 명으로 2010년에 비해 1.7배 이상 증가했다. 비수도권 인구 중 청년 비중 역시 2010년 19.7%에서 2015년 18.8%, 2020년 17.6%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회사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묻는 질문에 수도권 청년들은 연봉(36.5%)과 근무지역(28.9%)을 각각 1위와 2위로 꼽았다. '수도권에서 근무할 수 있는지' 여부가 높은 연봉만큼이나 회사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워라밸'(21.3%), '개인 커리어 개발'(9.3%), '회사의 성장 가능성'(2.7%) 등이 뒤를 이었다.

비슷한 수준의 두 회사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각각 위치할 경우 어디로 입사하겠느냐는 질문에는 98.3%가 '수도권 회사'를 택하며 압도적인 선호를 보였다.

수도권 회사를 택한 청년들에게 "연봉이 얼마나 높으면 지방 근무를 선택하겠느냐"고 질문하자 '1천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2천만원'·'500만원'(18.6%)이 높았고, '300만원'(9.8%), '1천500만원'(8.8%) 순이었다. 연봉과 관계없이 아예 지방에 근무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도 6.1%였다.

서울에서 어느 정도 먼 지역에서까지 근무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4.1%가 '수원·용인'을 꼽았다. 반면 그보다 조금 아래인 '평택·충주'는 31.9%로 크게 하락했다. 수도권이거나 수도권 인접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서울과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 멀어지면서 선호가 크게 낮아지는 것이다.

중부권의 중심지인 '세종·대전'(25.9%)의 경우는 '평택·충주'와 응답률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하지만 남부권 '대구·전주'(14.9%)에서는 다시 크게 떨어져 '세종·대전'이 수도권 청년들이 근무를 고려하는 지리적인 마지노선으로 나타났다. 거리에 상관없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기업 규모가 다소 작더라도 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지방 4대그룹 소속 기업'(26.6%)보다 '수도권 일반 대기업'(73.4%)에 입사하겠다는 응답이 훨씬 높았으며, '수도권 중견기업'(50.2%)은 '지방 일반 대기업'(49.8%)과,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52.8%)은 '지방 소재 중견기업'(47.2%)과 선호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새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지역 생활여건 개선'(38.5%)을 꼽았다. '주요기업 지방이전 촉진'(21.6%), '지역 거점도시 육성'(16.9%), '공공기관 이전 확대'(9.3%), '지역 특화산업 육성'(7.3%) 등이 뒤를 이었다.

전인식 대한상의 산업정책실장은 "지역불균형 해소의 핵심은 결국 미래세대인 청년과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기업이 스스로 찾아와 정착하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며 "청년 눈높이에 맞게 지역 생활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기업에 친화적인 제도와 인프라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지 기자(jisse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수도권 쏠림' 심화…청년 구직자 4명 중 3명 "지방근무 싫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