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한화디펜스, 이집트와 2兆 규모 'K9 자주포' 수출 계약 쾌거


K9 운용국 전 세계 9개 국가로 확대…"검증된 자주포 솔루션 입증"

[아이뉴스24 오유진 기자] 한화디펜스는 지난 1일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한 육군 포병회관에서 이집트 국방부와 K9 자주포, K10 탄약 운반장갑차 등을 공급하는 패키지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이번 계약 금액은 약 2조원으로 K9 자주포 해외 수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이며, 아시아·유럽·오세아니아 지역에 이어 아프리카 지역에 국산 자주포를 최초로 수출하게 됐다.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이사(왼쪽)와 오사마 에자트 이집트 국방부 전력국장이 지난 1일 이집트 카이로 소재 포병회관에서 K9 자주포 수출계약 체결 후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 [사진=한화디펜스]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이사(왼쪽)와 오사마 에자트 이집트 국방부 전력국장이 지난 1일 이집트 카이로 소재 포병회관에서 K9 자주포 수출계약 체결 후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 [사진=한화디펜스]

한화디펜스는 계약에 따라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장갑차 ▲K11 사격지휘장갑차를 이집트 육군과 해군에 공급하고, 현지 생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완제품 초도 물량은 오는 2024년 하반기까지 납품될 예정이며, 이후 잔여 물량은 기술이전 등을 통해 이집트 현지에서 생산된다.

이와 함께 장비 운용교육 및 부대, 야전, 창정비 등의 후속 군수지원도 이뤄질 예정이다.

K9 자주포의 이집트 수출은 한화디펜스 임직원들이 지난 10여년 간 이집트 군 당국과 장기간의 협상과 노력을 통해 이뤄낸 뜻깊은 결실이며, 공정하고 원칙적인 협상을 통해 합리적인 조건의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1998년 개발 완료한 K9 자주포는 대한민국의 대표 무기체계로, 지난 2001년부터 7개국(터키·폴란드·인도·핀란드·노르웨이·에스토니아·호주)에 완성장비 납품과 기술이전, 현지생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출됐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8개국에서 1천700여 문이 실전 운용 중이며, 세계 자주포 수출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 수출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K9 자주포 도입 국가는 9개국으로 늘어나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디펜스 K9A1 자주포. [사진=한화디펜스]
한화디펜스 K9A1 자주포. [사진=한화디펜스]

K9 자주포는 155mm·52구경장으로 최대 사거리가 40km에 달하며, 신속한 대응 사격이 가능하다. 특히 한국의 산악·평원·설원·정글·사막 등 해외 각국의 다양한 운용 환경에서 성능이 검증됐으며, 사격 후 신속한 진지변환 전술 운용에 최적화돼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이밖에도 K10 탄약운반장갑차는 세계 최초의 탄약 재보급 자동화 장비로, 전장에서 K9 자주포에 신속한 탄약 보급을 해 자주포 전력의 전투 지속능력을 높이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K11 사격지휘장갑차는 K10 차체 내부에 포병사격 지휘체계와 각종 정찰탐지 및 통신장비 등을 탑재하고 기동성을 높인 차량으로, K9 자주포가 신속하고 정확한 사격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제하는 이집트 맞춤형 모델이다.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이사는 "이번 수출 계약은 우리 K9 자주포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검증된 자주포 솔루션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집트 K9 수출이 대한민국과 이집트의 성공적인 협력의 롤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면서 이집트 군의 전력증강과 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유진 기자(ouj@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화디펜스, 이집트와 2兆 규모 'K9 자주포' 수출 계약 쾌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