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대성수 기자] 전남 진도군 고군면 벽파항은 군의 북동쪽 해안에 위치한다. 북쪽 바다 건너로는 해남군 황산면과 마주하고 북서쪽으로 10여km의 해안에는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 유명한 ‘울돌목’이 자리하고 있다.
고군면 사람들은 벽파항을 ‘불꺼진 항구’라고 부른다. 하지만 벽파항은 4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진도와 제주도의 관문이자 인근 해역을 지나는 모든 여객선이 들리는 거점 항구였으며, 한때 고려와 대립하는 한 왕국의 도읍지 항구였고, 수군의 총사령부 기지이기도 했다.

추억의 항구가 그렇듯이 벽파항 또한 지난 1984년 길이 484m의 진도대교가 울돌목에 건설된 이후 모든 영화는 과거가 됐으며, 간선도로의 이정표에서도 찾기 힘든 항구로 쇄락했다.
벽파항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는 항구를 10여리 가량 남겨둔 지점에 위치한 ‘용장성터’에서 엿볼 수 있다. 이곳은 1270년부터 4년간, 외세의 침략에 맞서 결코 굴종하지 않았던 ‘삼별초’군이 웅거했던 곳이다.
그들은 몽고와의 화친을 굴욕으로 보고 1천여 척의 배에 병사와 그들의 가족, 그리고 물자를 싣고 와 이곳 용장성터에서 새로운 왕국을 열었다. 벽파항은 바로 이들이 도착한 곳이자 새 도읍지의 해상 관문이었다.
또한 1597년 이순신장군이 해남 우수영으로 옮겨 명랑대첩을 치르기 직전 수군을 정비하던 진(항구)이기도 했다.

“다리가 놓이기 전 벽파항에는 술과 음식을 파는 식당이 5개나 있었고, ‘여관’도 있어 주로 제주도 가는 사람들과 제주 잠수꾼들이 자고 갔습니다.”
20살에 인근 군내면에서 벽파항 마을로 시집왔다는 김팽순(86·벽파리 거주) 할머니는 지금은 식당과 여관 등의 건물 대부분이 헐리고 한적한 어촌이 됐지만 당시 벽파항은 정말 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렸다고 소개했다.
“진도대교가 개통되기 전에는 인근을 해역을 지나는 7~8개 노선의 배가 벽파항에 들렸습니다. 몇 년 전까지도 제주 간 쾌속선이 경유했는데 이제는 여객선이 완전히 끊겼어요.”
벽파리 토박이인 손화종(79) 할아버지는 “역사도 깊은 항구가 이렇게 불 꺼진 항구가 돼서는 안된다”며 ‘2종 항구‘라도 지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벽파항이 큰 항구였음은 20여m 가량 돼 보이는 옛날 여객터미널 건물에서도 드러난다. 터미널 안에는 이 항구의 마지막 여객선이었던 쾌속선의 요금표가 남아있다.
벽파~제주 간 쾌속선 운항 5주년 특별 할인요금이 4만1천750원이다. 선사 측에서도 항로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을 엿볼 수 있다.
/전남=대성수 기자(dss@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