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멈추지 않는 밀값 폭등세…소비자 물가 '도미노 인상' 우려


코로나19 등 복합적 요인으로 2014년 이후 최고 수준 기록…자급률은 1%대 그쳐

[아이뉴스24 이현석 기자] 국제 밀 가격이 강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빵, 과자 등 소비재 가격의 도미노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18일 미국 소맥협회는 시카고 상품거래소의 밀 선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카고 상품거래소의 밀 선물 가격은 국제 밀 가격의 기준이 되는 수치다.

국제 밀 가격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풍부한 생산량, 기말재고량 전망 등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 8월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악화, 기후 변화, 국가간 이해관계, 대체작물 가격 상승 등 복합적 요인으로 최근 급등하고 있다.

국제 밀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름세를 보임에 따라 장바구니 물가 인상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사진=미국 소맥협회]

실제 유럽연합 내 밀 최대 생산국인 프랑스의 밀 생산량은 건조 기후 등의 요인으로 전년 대비 25% 이상 급감할 전망이다. 아르헨티나 역시 11%의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또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제 밀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말 재고량이 줄었고 자연스럽게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사료 부문에서 대체 관계에 있는 옥수수, 대두의 가격 상승도 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남미 지역 가뭄으로 최대 곡물 수출국 아르헨티나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미국으로 이동했다. 이에 따라 밀 가격 상승에까지 영향이 끼치고 있다.

이 같은 폭등세가 이어짐에 따라 밀 자급도가 낮은 우리나라의 소비자 물가 상승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용 밀 수요는 연간 215만 톤 수준이지만 국내 생산량은 3만 톤 수준으로 자급률은 1%대에 그친다. 반면 1인당 밀 소비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제1차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25년까지 밀 자급률 5%를 우선 달성한 후 2030년 1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올 한 해도 코로나19 사태가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단기간의 대책은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물가 영향 등을 고려해 기업이 원가 부담을 감내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밀 가격이 폭등할 경우 원자재 값 상승을 감당할 수 없게 된다"며 "반전이 일어나지 않는 한 연이어 가격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현석 기자 try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멈추지 않는 밀값 폭등세…소비자 물가 '도미노 인상' 우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수현, 놀라운 9등신 비율
수현, 놀라운 9등신 비율
가비, 퀸 에티튜드
가비, 퀸 에티튜드
배현성, 진지한 악역 눈빛
배현성, 진지한 악역 눈빛
이사배, 블루 홀릭
이사배, 블루 홀릭
최대훈, 거부할 수 없는 '학씨 아저씨'
최대훈, 거부할 수 없는 '학씨 아저씨'
염혜란, 꽃처럼 고운 드레스 자태
염혜란, 꽃처럼 고운 드레스 자태
김민하, 킬힐에 걸린 드레스 '아찔'
김민하, 킬힐에 걸린 드레스 '아찔'
이병헌, 프론트맨 카리스마
이병헌, 프론트맨 카리스마
오마이걸 미미, 유니크한 미니드레스
오마이걸 미미, 유니크한 미니드레스
공승연, 블링 블링
공승연, 블링 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