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韓 태양광소재, 中 저가공세에 '줄도산' 공포


中, 문재인 정부 재생에너지 정책 최대 수혜 가능성

[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국내 태양광소재 시장이 고사 위기에 처했다. 국내 1위이자 세계 2위 태양광소재업체 OCI가 중국의 저가공세에 밀려 결국 국내 태양광 폴리실리콘 사업을 접기로 하면서다. 한화솔루션도 국내 사업 철수를 고려하면서 태양광 산업에서 중국 의존도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결국 문재인 정부가 태양광 등 에너지전환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그 수혜는 정작 중국 태양광 업체들에게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인도처럼 국내 태양광 산업 보호를 위해 반덤핑관세 부과 등 적극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아마존의 태양광 패널 [사진=아마존]
아마존의 태양광 패널 [사진=아마존]

12일 태양광업계에 따르면, 태양광에너지 사업의 핵심소재 중 하나인 태양광소재 시장이 중국산 저가공세로 최대위기를 맞고 있다.

OCI는 오는 20일부터 전북 군산공장의 태양광 폴리실리콘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군산공장은 정기보수를 거쳐 오는 5월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생산라인으로 전환해 일부가동을 재개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산업 생태계는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 순으로 구성돼 있다.

OCI는 지난해 폴리실리콘 사업부진으로 1천80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매출도 전년 대비 16.3% 줄어든 2조6천51억원에 그쳤다. 김택중 OCI 사장은 전날 4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폴리실리콘 가격이 낮게 형성되고 있다"며 "반등에 성공해도 군산공장은 이를 맞추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솔루션도 폴리실리콘 부문에서 적자를 이어가며 국내 폴리실리콘 사업 철수를 검토 중이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부터 여수 폴리실리콘 공장 가동률을 낮춰 왔다. 만일 이 공장마저 생산을 중단할 경우 그동안 한화그룹 태양광사업의 최대강점인 '화학부터 태양광까지'의 수직계열화는 사라지게 된다.

국내 2위 폴리실리콘 제조업체였던 한국실리콘은 이미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를 버티지 못하고 2018년 법정관리를 신청한 상태다. 넥솔론과 SMP는 2017년 파산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잉곳과 웨이퍼를 제조하던 웅진에너지는 지난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국내 폴리실리콘 업체들의 줄도산 우려는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다. 중국 태양광 업체들은 자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에 힘입어 저가 물량공세에 나섰다. 결국 시장은 공급과잉에 빠지면서 폴리실리콘 가격이 지난 2018년 1월 kg당 17달러에서 이달 7달러까지 급락했다.

중국 정부 역시 반덤핑 관세를 통해 국내 업체를 공격했다. 중국은 2014년부터 OCI에 4.4%, 한화솔루션에 8.9%의 관세를 부과해왔다. 심지어 중국은 이 같은 반덤핑 관세기조를 오는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미국도 수입 태양광 셀과 모듈에 30% 관세를 부과하는 세이프 가드 조치를 실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우리나라 정부가 태양광 소재산업 보호에 소홀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의원은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태양광 장비 수요가 늘고 있지만 수혜는 중국이 누리고 있다"며 "반덤핑 관세부과 등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중국 의존도는 갈수록 커지면서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의 수혜는 중국의 태양광 업계가 차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화솔루션은 셀과 모듈 등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 반면 OCI는 폴리실리콘 사업만 영위하고 있다 보니 OCI의 경우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웅 기자 her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韓 태양광소재, 中 저가공세에 '줄도산' 공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