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한국당 "文정부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방송·권력 정치적 거래"


김병준 "朴 정부 때는 블랙리스트, 文 정부선 화이트리스트"

[아이뉴스24 송오미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지난 9일 케이블채널과 종합편성채널(종편)처럼 지상파 방송에도 중간광고를 허용하는 방침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자유한국당이 23일 '문재인 정권, 지상파 중간광고 왜 허용하려 하는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정치적 보너스", "방송과 권력의 정치적 거래" 등의 표현을 써가며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김병준 한국당 비대위원장은 이날 토론회에 참석해 "지난 (박근혜) 정부 때는 블랙리스트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화이트리스트가 있는 것 같다"면서 "그 결과로 지상파 방송의 정파성이 강화돼 많은 분들이 채널을 돌리고 있다. 광고 수수료가 떨어지고, 적자경영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제가 듣기로는 국민의 60% 이상이 반대하고, 대다수 전문가들도 옳지 않다고 한다"면서 "정권에서 이걸 강행하려고 하는 의도가 무엇인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과방위 한국당 간사를 맡고 있는 정용기 의원은 "미국·일본·프랑스 등 다른 나라들이 공영방송은 대부분 광고를 규제하고 있다"면서 "지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의원도 야당일 때는 지상파 중간광고는 안 된다고 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보도의 공정성이 현저하게 훼손돼 시청률이 떨어지고 광고가 떨어져 경영이 악화되는 것은 고칠 생각을 안 하고, 중간광고 허용으로 이를 모면하려는 것은 잘못됐다"면서 "경영합리화를 위한 종합적인 안을 내놓으라고 해도 지상파 방송사들은 '배째라' 자세다. 이러면서 중간광고를 허용해 달라는 것은 염치없는 일"이라고 거듭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신문기자 출신인 박대출 의원은 "중간광고를 졸속으로 허용하면, 방송과 권력의 정치적 거래처럼 비춰질 수 있다"면서 "중간광고 도입은 서두를 게 아니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편집국장 출신인 강효상 의원은 "문재인 정권의 지상파 방송 중간광고 허용은 정권창출과 유지에 기여하고 있는 지상파에 대한 정치적 보너스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아주 질이 나쁜 정책"이라면서 "정권 전리품을 나눠주는 정책이기 때문에 결코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상직 의원은 "민영방송에 대해서는 신축적으로 중간광고를 허용할 수 있을지 몰라도, 광고주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되는 공영방송의 중간광고 허용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송기자 출신인 김영우 의원은 "지금 문재인 정권의 방송 장악 음모는 '목불인견(目不忍見)이다"면서 "중간광고 허용과 관련해서도 전혀 순수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국회 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국당 위원 공동, 정책위원회, 여의도연구원의 주최로 열렸다. 조맹기 미디어연대 공동대표가 사회를, 김병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가 발제를 맡았다. 토론 패널로는 허승호 한국신문협회 사무총장과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정태원 법무법인 에이스 변호사, 양한열 방통위 방송기반국장이 참여했다.

송오미기자 ironman1@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국당 "文정부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방송·권력 정치적 거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