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홍성효 기자] 서울 강남권 아파트 전세가율이 30%대로 떨어졌다. 이런 가운데 지역 간 집값 격차가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성남시 청계산 매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강남구와 한강 이북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8f133a213b66ec.jpg)
29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53.0%로 강남 11개구는 49.9%, 강북 14개구는 56.5%였다. 특히 서울 강남구의 전세가율은 39.4%로 2013년 4월 구별 통계 집계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전세가율이 50% 이하인 자치구는 강남 외에도 송파구(41.9%), 용산구(42.5%), 서초구(43.8%), 양천구(48.8%), 성동구(48.9%), 강동구(49.9%) 등이다.
이달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3억8174만원으로 3개월 연속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강북권 평균은 9억8876만원, 강남권은 17억3223만원으로 강남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처음으로 17억원을 넘어섰다.
서울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방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지역 간 격차도 벌어졌다. 전국 기준으로 상위 20%(5분위)와 하위 20%(1분위) 아파트 매매가 차이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11.9배로 2008년 12월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1억4419만원으로, 지난달 사상 처음 30억원을 넘긴 데 이어 한 달 만에 31억원을 돌파했다. 하위 20% 아파트는 평균 4억9085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6월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33.9로 2012년 4월 통계 집계 시작 이후 최고치였다. 이는 시장에서 향후 부동산 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시각이 크게 우세하다는 의미다.
해당 지수는 기준점 100을 넘으면 ‘상승 전망’이 우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지수가 130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18년 9월(133.0) 이후 처음이다. 다만 이번 조사는 지난 27일 발표된 정부의 대출 규제 방안은 반영되지 않았다.
/홍성효 기자(shhong082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