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주택담보대출 대환대출 인프라 출범을 앞두고 은행권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주담대를 대부분 대환으로 흡수하는 인터넷전문은행에선 반기는 반면 시중은행에선 난색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2024년 1월부터 주담대·전세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게시할 예정이다. 주담대 대환대출에는 16개 플랫폼사가, 전세대출에는 22개 플랫폼사가 참여한다.
그러나 금융권의 열기는 미지근하다. 주도권을 쥔 시중은행들이 소극적 태도를 보이는 까닭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27일 "주담대 대환대출 논의를 위해 모인 자리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은 (주담대 대환대출을) 원하지만, 시중은행은 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여 논쟁이 있었다"고 전했다.
실제 인터넷전문은행 관계자는 "주담대의 상당수가 대환으로, 대환대출 인프라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분위기다.
반면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은 영업점에서 많이 취급하니까, 근저당 설정 비용부터 수수료까지 인터넷전문은행보다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며 "대환으로 고객을 끌어오려면 다른 은행보다 낮은 금리를 제시해야 하기에 수익성도 떨어져 대환은 선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은 금리를 낮춰서라도 시중은행 고객을 끌어올 텐데 뺏기는 일밖에 없지 않으냐"며 "조달 비용도 올라가는 데 금리 인하와 관리 비용 부담이 상당하다"라고 토로했다.
이렇다 보니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파이낸셜 등 일부 빅테크를 제외한 플랫폼 사에선 입점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시중은행이 대환대출인프라를 꺼리는 이유로 빅테크 등의 플랫폼 '종속 논란'을 의식하고 있단 지적도 나온다.
한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비용이나 경쟁력을 이유로 들었지만, 제조업처럼 중개 기능으로 전락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