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산업부, ESS 산업 육성 나선다


2036년까지 26GW, 45조4천억원 소요 전망

[아이뉴스24 안다솜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수급기본계획상 2036년까지 최대 45조4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는 ESS(에너지저장장치) 산업육성에 본격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정적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ESS 시장 진출을 위해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를 구성하고 30일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TF는 올해 상반기 수립 예정인 'ESS 산업 발전전략' 관련 기관과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날 킥오프 회의는 이호현 전력정책관 주재로 ESS 산업 발전전략 수립 방향과 해외 정책 동향 등을 논의한다.

ESS는 전력저장을 할 수 있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 투자비를 줄일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등이 가능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도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며, 2021년 110억 달러에서 2030년 2천62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ESS 시장 규모와 보급 전망.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 ESS 시장 규모와 보급 전망.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미국 등 선진국들도 폭염‧한파 등 기후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어 전력시스템에서 ESS 적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해당 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개발, 규제개선 등 지원정책을 통해 전력공급 안전성 강화와 신시장 선점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ESS 산업육성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부는 최근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6년까지 약 26GW(기가와트)의 ESS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최대 45조4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중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소요비용 전망.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중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소요비용 전망. [사진=산업통상자원부]

하지만 최근 ESS 화재사고가 빈발하고 ESS 설치지원 제도도 2020년 이후 대부분 일몰되면서 관련산업이 침체된 상황이다. 태양광 연계형 단주기 소규모 ESS에 비해 대용량·장주기 ESS는 운영실적도 기술도 부족하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좌초자산화되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주기·대용량 ESS 도입이 필수"라며 "우리나라에 적합한 ESS를 전력망과 연계하는 스토리지믹스 계획 마련, 연구개발(R&D), 실증과 사업화 지원 등 ESS 생태계 조성, 나아가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다솜 기자(cott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산업부, ESS 산업 육성 나선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