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낙후’ 농공단지 이름 바뀐다…산업과 문화 결합 공간으로


정부,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마련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낙후된 이미지 등으로 굳어져 있는 농공단지가 탈바꿈한다. 산업과 문화 결합 공간으로 만들기로 했다. 농공단지란 이름도 변경하기로 했다.

정부는 22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현안조정점검회의을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에 있는 곳으로 2020년 기준 474개, 7천679개 업체에서 약 15만3천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농공단지와 인근지역 종합발전 개념도. [사진=산업부]
농공단지와 인근지역 종합발전 개념도. [사진=산업부]

농공단지는 1984년 처음 조성된 이후 농어촌 산업 발전의 핵심 인프라로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경제성장의 일익을 담당했었다. 2020년 기준으로 생산 57조원(전체 산단 대비 7.2%), 수출 112억 달러(6.0%), 고용 15만3천253명(7.0%)에 이른다.

문제는 20년이 넘어서면서 노후단지 증가, 농어촌 인구유출, 낙후지역 위치 등으로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지역 균형발전 달성과 농공단지 활력 회복 등을 위한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태를 조사한 결과 농공단지 입주기업들이 정부 정책수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돼 왔고 정부 연구개발(R&D), 농공단지 환경개선, 부처사업 연계 등과 같은 정책들이 농공단지까지 확대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부는 농공단지가 ‘지역 산업과 문화 공간(비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농공단지의 활력 회복과 미래 산단으로의 전환(목표)을 지원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지역과 단지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지원 ▲농공단지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제도 개선과 지원시스템 강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공단지를 미래형 산단으로 탈바꿈하는 시그니처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며 2022년부터 매년 4개씩 5년 동안 20개를 조성할 예정이다. 농공단지가 겪는 인력 문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고용장려금에 대한 정보 제공과 활용 촉진, 농공단지 수요에 맞는 교육 훈련(고용부), 농공단지 입주기업에 관한 채용정보 제공(산업부) 등도 추진한다.

농공단지에 스마트팜 등 신산업 입주를 확대하고, 농공단지 면적 상한 요건 완화로 유망 농공단지의 발전을 지원하기로 했다. 농공단지 명칭이 주는 부정적 이미지 개선을 위해 법적 명칭 변경 검토와 지자체의 농공단지 관리 의무를 강화하고자 농공단지 지원근거(조례)도 마련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최근 지역균형 발전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농어촌 등 낙후 지역에 구축돼 있는 농공단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지역 균형발전 정책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책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농공단지들이 산업과 문화가 함께하는 미래형 산단으로 발전하고, 경쟁력이 낮은 산단들은 활력을 회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낙후’ 농공단지 이름 바뀐다…산업과 문화 결합 공간으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