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막힌 혈관으로 급사 많아…혈관 건강 정기 체크해야


혈관질환, 전혀 모르고 있다 갑자기 발병하는 사례 많아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혈관질환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질환을 알았을 때는 이미 늦었거나 심지어 응급실에서 급사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막힌 혈관이 문제이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으로 대표되는 3대 만성질환은 우리 몸에 있어 가장 중요한 혈관을 위협하는 주범이다. 급성심근경색과 뇌졸중으로 대표되는 심장·뇌 질환, 대동맥 질환과 말초혈관 질환은 만성질환이다. 탁해진 혈액 속 혈전들이 심장혈관과 뇌혈관, 대동맥과 말초혈관을 막아 발생한다.

심장과 뇌의 혈관은 길이가 짧아 증상이 바로 나타난다. 복부대동맥부터 말초혈관에 이르는 팔다리 혈관은 매우 길어 협착이 있다 해도 증상을 바로 알 수 없다. 이들 혈관이 막혀 다리가 붓고 저리며 보행이 어려울 정도의 극심한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혈관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안형준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가 수술을 하고 있다.  [사진=경희대병원]
안형준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가 수술을 하고 있다. [사진=경희대병원]

안형준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는 “복부의 대동맥에서부터 허벅지와 무릎 이하 발목, 발등, 발가락에 퍼져있는 말초혈관 질환은 고령화와 여러 만성질환으로 인한 동맥경화로 상당히 오랜 기간 협착, 폐색 등을 일으킨다”며 “특히 동맥이 늘어나는 동맥류, 동맥이 막히는 동맥 폐색 등은 대동맥 파열과 다리 괴사 이전까지 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결국 심각한 상황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대표적 대동맥 질환인 대동맥류는 지속해 혈관이 늘어져 파열될 때까지 큰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 혈관이 막혀 괴사를 일으키는 대동맥 폐색도 마찬가지다. 환자들 대부분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질환을 동반하고 있어 이들 질환을 치료하는 가운데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팔다리 혈관인 말초혈관 질환도 긴 혈관으로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동맥경화로 혈전들이 말초혈관 안에 쌓이면서 걷지도 못할 정도의 저림, 보행장애 등을 불러온다.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야 비로소 환자들은 병원을 찾는다고 안 교수는 안타까워했다.

혈관질환의 진단에 있어 가장 기본은 초음파 검사다. 혈관 초음파를 통해 막힌 병변을 확인하고 혈관 구조를 영상과 해부학적으로 파악한다. 추가로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장치(MRI) 검사를 시행해 정확한 병변을 재확인한다.

환자의 혈관 기능 소실 여부를 수치로 정확히 제시하는 혈관 기능검사도 중요하다. 환자의 혈관 상태와 기능을 정확히 계량해 수술 외 약물치료, 스텐트, 풍선확장술 등 여타 치료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의 혈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불필요한 치료를 줄이는 최소한의 치료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돕는 검사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안형준 교수는 “혈관질환은 대부분 응급환자인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동맥 파열로 집에서 사망하거나 응급실에 오더라도 수술 도중 사망하는 때도 있다”며 “흡연자이고 비만이거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각종 만성질환을 동반한 50~60대 이상 고령층은 정기적으로 초음파를 통한 혈관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혈관질환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되돌아올 수 없는 큰 후유증을 남기고 최종 사망에 이를 수 있다”면서 “조기 진단으로 최대한 치료 시기를 앞당겨 혈관병 때문에 갑자기 생명을 잃는 사례는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혈관질환을 병변을 오랫동안 내버려 두면 동맥이 딱딱하게 굳어 수술이 어렵고 약물치료도 할 수 없다”며 “병원 방문을 겁내지 말고 현재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고 관리, 치료한다면 질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며 절단 등 최악의 상태를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막힌 혈관으로 급사 많아…혈관 건강 정기 체크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