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기자수첩] IPO, 결국은 '적정공모가' 문제다


[아이뉴스24 김종성 기자] 동학개미도 공모주 ‘따상’을 맛볼 수 있을까.

올해부터 공모주 청약 제도가 바뀌며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기회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공모주 균등배정 방식을 적용하는 등 소액투자자의 청약 문턱을 낮췄다.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최소 절반 이상에 균등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내면 개인투자자들은 동등하게 물량을 배정받을 수 있게 됐다. 적용 가능한 방안으로는 ▲일괄청약 ▲분리청약 ▲다중청약 방식 등이 있다. 일괄청약을 예로 들면 일반청약 공모주 100만주에 처약자 10만명이 몰렸다면 이중 50%를 'n 분의 1' 해서 5주씩 나누는 식이다. 이는 증권사 재량에 따라 추첨제와 병행될 수도 있다.

기존에는 청약 증거금 비율에 따른 비례 방식으로 물량이 배정됐다. 때문에 증거금 1억 원을 내고도 공모주 4~5주 밖에 못 받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른바 '따상(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로 형성된 후 상한가)'이라 불리는 높은 기대수익률에 IPO 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면서 공모주 투자에 대한 개인투자자의 관심도 높아졌지만, 사실상 고액 자산을 가진 '큰 손'의 전유물로만 여겨져 왔다.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물량도 늘어난다. 우리사주조합 물량 중 미달분에 한해 최대 5%까지 일반청약자에 추가로 배정할 수 있다. 또 올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는 기업은 하이일드펀드에 배정되는 물량을 10%에서 5%로 줄이고, 이 물량을 일반 청약자에게 추가 배정한다. 개인투자자가 받는 공모주 물량이 기존 20%에서 최대 30%까지 늘어날 수 있게 된 것이다.

바뀐 규정으로 '동학개미'로 불리는 소액투자자들의 공모주 투자심리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개인투자자의 참여 확대가 자칫 IPO 시장 과열과 투자 수급의 안정성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적지않다. 공모주에 대해 막연히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거나 분위기에 편승한 '묻지마 투자'가 늘어나면 공모주 주가가 기업의 본질 가치보다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어서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청약증거금만 58조4천억 원이 몰리며 '광풍'에 가까운 청약열기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상장 직후 기대수익률 충분히 실현한 투자자들이 주식을 대거 매도하며 주가가 급락했다. 공모가 13만5천 원으로 지난해 10월 15일 코스피시장에 상장한 빅히트엔터는 상장 당일 최고 35만1천 원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차익실현 매물이 대거 쏟아지며 이튿날에는 20만500원까지 떨어졌다.

공모주의 단기 수익률이 한결같이 높게 유지된다는 보장은 없다. 특히 공모주의 상장 초기 수익률만 바라보고 투자하는 개인들은 시장 상황에 따라 공모주 시장에 일시적으로 몰리기도 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유형의 투자자들이 일시적으로 공모주 시장에 몰리면 기업의 장기성과를 보고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높은 청약경쟁률로 정작 공모주를 배정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 IPO에 나선 기업들도 투자자들이 단기간 빠져나가면 IPO 시장의 투자 수요가 불안정하게 돼 투자 유치에 고전할 수 있다.

결국 적정 공모가를 통해 투자자들을 안정적으로 유치하고,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 건전한 IPO 시장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모가가 잘 형성된다면 투자자들이 공모주를 배정받지 않더라도 상장된 후에 공모가보다 그리 높지 않은 가격에서 공모주를 매입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요예측에 있어 상장 주관사의 자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에 힘이 실린다. 수요예측제도는 원래 주관사의 주도적인 역할을 중시하는 공모가 결정 방식인데, 제도가 도입될 당시 투자자 보호가 강조되며 배정일 비롯한 공시, 절차상의 많은 세부규정들이 생겨났다.

현재 수요예측제도가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제공하고 있지만, 정작 주관사의 자율성을 제한해 적정 공모가 형성에 효율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IPO 주관사의 자율성과 역할은 높이 돼, 이들에 대한 평판 시장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주관사들은 공모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받는 측면이 많은데, 이는 수수료 경쟁을 유도할 뿐 양질의 서비스 경쟁을 유도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건전한 IPO 시장을 위해서는 공모가의 적정성, 투자자보호를 위한 주관사의 역할, 공모주의 장기성과 등이 강화돼야 하는데, 평판시장은 주관회사의 서비스 향상을 유도할 것"이라며 "주관사에 대한 질적 평가기준과 이를 주기적으로 시장에 알릴 수 있는 채널 등이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동학개미' 전성시대다. 개인투자자들의 '똑똑한' 투자도 늘고 있다. 적정 공모가를 통해 IPO 시장의 변동성이 완화되면, 올해 개미들이 국내 증시의 주도세력으로 자리매김했듯 공모주에 대한 이해가 높고 투자경험이 많은 투자자들이 공모주 시장을 주도하게 될 수도 있다. 기업들도 안정적인 투자자 기반과 적정 공모가를 통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김종성 기자 star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자수첩] IPO, 결국은 '적정공모가' 문제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