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기자수첩] ‘객석 띄어 앉기’ 실효성 따져볼 때


[아이뉴스24 박은희 기자]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으로 전국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되고, 국공립 극장에만 적용하던 좌석 한 칸 띄어 앉기가 민간 공연장에도 의무화된 지 한달이 지났다. 27일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이달 공연계 매출(26일 기준)은 59억3천319만원으로 지난달 170억1천332만원보다 65.1% 감소했다.

전체 객석의 절반밖에 판매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자 이달 오픈 예정이었던 뮤지컬 ‘그레이트 코멧’ ‘스모크’, 연극 ‘그을린 사랑’ 등이 개막을 잠정 연기했다. ‘오페라의 유령’ 월드투어는 마지막 대구 공연을 20여일 남기고 조기 폐막했다.

손실을 피할 수 없는 구조지만 울며 겨자 먹기로 공연을 이어가고 있는 제작사들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공연장 대관료를 이미 지불했고 수많은 스태프와 배우들의 생계가 달렸기에 공연을 취소할 수도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한 공연 관계자는 “자발적으로 개런티를 삭감하는 배우들도 있고 다들 힘든 상황 속에서도 공연을 멈추지 않기 위해 고통을 분담하는 분위기”라며 “하지만 계속 이대로 간다면 망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아예 공연을 못 한다든지 건물 안에 몇 명밖에 못 들어오든지 그런 강경한 규제면 모르겠는데 한 칸 띄어 앉는 게 실질적으로 코로나19 감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나 싶다”고 의견을 전했다. 이어 “대화를 하거나 음식을 먹는 공간도 아니고 서로 다닥다닥 붙어 서 있는 곳도 아니지 않나”라며 “대중교통이나 대형마트 등과 비교하면 가만히 앉아서 공연만 보는데 한 칸을 건너 띄는 게 엄청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비판했다.

질본의 역학조사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미감염자와 감염자 둘 다 마스크를 착용했을 경우 감염률은 1.5%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이에 대해 “KF94 마스크라도 94% 정도만 막기 때문에 일부는 감염될 수 있지만 거의 100% 가까이 막을 수 있는 퍼센테이지”라고 강조했다.

공연계는 그동안 철저한 방역과 코로나19 예방수칙 이행의 모범 사례가 돼왔다. 마스크 착용은 기본이고 필수적인 열 체크와 문진표 작성뿐만 아니라 입장 시 신분증까지 확인한다. 공연 시작 전 어셔들은 마스크를 코까지 다 가려서 써 달라고 거듭 당부한다. 수칙 상 커튼콜 땐 함성을 지를 수도 없다.

뮤지컬 ‘모차르트!’와 ‘브로드웨이 42번가’ ‘미아 파밀리아’, 연극 ‘마우스피스’의 경우 코로나19 확진자가 관람을 하기도 했으나 모두 건물 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해 자가격리 대상자나 코로나19 의무 검사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보건당국이 즉각 역학조사를 진행한 뒤 “주기적인 방역 진행과 강력한 생활방역 준수로 전파 위험이 낮으며 정상적인 공연 진행이 가능하다”고 해 그로 인한 공연 중단도 없었다.

한 제작사 대표는 “최근 병원에 방문한 적이 있는데 QR코드가 아닌 수기로 문진표를 작성하는 사람에게 신분증 검사를 하지 않더라”며 “안내하는 사람이 줄도 세우지 않고 체계가 없어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그는 “공연장만큼 안전한 곳은 없다, 모든 사람들이 공연을 한편이라도 본다면 느낄 것”이라며 “현장에서 경험해보고 어떻게 개인 방역을 해야 되는지 배워 가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11일까지를 추석 특별방역기간으로 정하고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를 전제로 실내 국공립시설의 운영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휴관 중이던 국립문화예술시설은 다시 문을 연다. 하지만 수도권 내 공연장의 좌석 한 칸 띄어 앉기 의무화는 유지된다.

연휴 기간엔 귀성·여행객이 줄면서 문화 활동이 증가할 수 있기에 방역수칙 강화는 불가피하다. 국립문화예술시설이 운영을 재개한 만큼 연휴를 무사히 보내고 확진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지 않는다면 민간 공연장에 대한 좌석 한 칸 띄어 앉기 완화는 검토돼야 한다.

한 달 이상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와 2단계를 이어왔지만 확진자 수는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정도 수준으로 최소 1년은 갈 거라고 한다.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불안정한 시국에 일괄적 규제만이 답은 아니다. 계속해서 객석 거리두기를 의무적으로 적용하면 공연 생태계는 붕괴된다. 현재 공연 제작사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지원책은 관객이 70% 이상은 찰 수 있게끔 풀어주는 것이다. 정부의 탁상행정을 비판하는 공연 관계자들이 하나같이 하는 말이다. 공연장은 결코 위험한 곳이 아니다.

박은희 기자 ehpark@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자수첩] ‘객석 띄어 앉기’ 실효성 따져볼 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