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韓 위기는 곧 기회··· 파운드리 격차 더 벌리는 TSMC


삼성·하이닉스 발만 '동동' 8월 초 日 수출규제 분수령 될 듯

[아이뉴스24 조석근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일본의 수출규제로 급소를 찔린 상황에서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삼성과 파운드리(시스템 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에서 일대 접전이 예상되는 대만 TSMC의 행보가 눈길을 끌고 있다.

29일 반도체 및 수출입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올해 3천명 규모로 반도체 엔지니어, 연구개발 인력 등을 채용할 계획이다. 1987년 창사 이후 최대 규모로 7나노 이하 차세대 파운드리 시장을 선점하는 차원이다.

TSMC는 세계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삼성전자는 2030년 반도체 종합 1위를 목표로 10년간 133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그 핵심 목표 중 하나가 글로벌 파운드리 1위 도약이다. 삼성 입장에선 TSMC가 파운드리 분야에서 피할 수 없는 맞수인 셈이다.

지난 1분기 기준 파운드리 분야 세계 시장점유율은 TSMC가 50%, 삼성이 19%다. 삼성의 경우 점유율에서 글로벌 파운드리 2위다. TSMC는 올해 상반기만 해도 지난해보다 45% 증가한 7조3천억원의 투자를 집행했다. 올해 투자되는 13조원 대부분이 7나노 이하 공정에 집중된다.

삼성전자의 7나노 EUV 파운드리 공정이 가동되는 삼성 화성캠퍼스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의 7나노 EUV 파운드리 공정이 가동되는 삼성 화성캠퍼스 모습. [사진=삼성전자]

TSMC는 7나노 공정을 가동하면서 애플의 아이폰용 칩을 제조한다. 5나노 공정 제품을 내년 중 양산할 계획인 가운데 최근 3나노 공정 생산라인 건설을 위한 대만 당국의 승인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삼성으로선 뼈아픈 대목이다. 7나노 이하 공정의 핵심 소재인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가 일본의 수출규제로 수입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EUV 포토레지스트를 비롯한 수출규제 적용 소재 3종은 3년마다 일괄적인 수출 허가를 받던 종전과 달리 계약마다 당국의 수출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당장 가동되는 생산라인도 멈춰세워야 할 판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수출규제가 시작된) 4일부터 현재까지 소재 3종의 한국 수출 계약에 대해 일본 당국이 승인한 사례는 없다"며 "EUV 포토레지스트 수입 지연이 길어지면 삼성, 하이닉스의 실험라인 가동도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EUV 포토레지스트 공급사는 세계적으로도 JSR 등 일본 업체들이 독점하는 분야다. 포토레지스트 계열 제품 중에서도 생산기술 난이도가 가장 높아 생산기술을 갖춘 기업들도 극소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도 D램 생산에 EUV 공정 도입을 검토 중이지만 지금처럼 EUV 포토레지스트 수입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 역시도 어려워진다.

반도체 업계는 일단 내달 초를 일본 수출규제 사태의 중대 기점으로 보고 있다. 오는 2일 국무회의에 해당하는 각의에서 한국의 전략물자 수출 화이트리스트 국가 배제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이 빠질 경우 기존 수출규제 3종처럼 1천200여개 전략물자 품목 중 한국 수출 품목 매 계약건마다 일본 정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아시아 국가 중 중국, 대만 등 한국처럼 IT산업이 국민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들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돼 있지 않다. 일본 정부가 이들에 대한 전략물자 수출 자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해외경제연구소 이미혜 선임연구원은 "중국 등 전략물자 수출 심사에 30일가량이 소요된다"며 "수출규제는 수출 자체를 금지하기보다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덧붙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업계를 비롯한 국내 산업계가 불안을 느끼는 지점은 현재로선 일본의 의도가 불분명하다는 점이다. 일본 정부는 표면상으로는 '수출관리 강화'를 이유로 들고 있다. 한일 양국의 신뢰훼손을 거론하며 기존의 수출우대를 거둬들인다는 취지다.

그러나 기존 소재 3종은 물론 화이트리스트 배제 이후 수출규제가 추가로 적용될 전략물자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가 서류미비 등을 이유로 수출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킬 가능성이 있다. 재계 한 연구소 관계자는 "최장 90일이 걸릴 수 있다고 하지만 그 이상으로도 지연될 수 있다. 한국 기업 입장에선 상당한 생산차질이 빚어지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른 관계자는 "수출규제 3종 한국 수출계약에 대한 심사결과들이 나오는 시점을 보면 일본 정부의 의도가 보다 확실히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석근 기자 mysu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韓 위기는 곧 기회··· 파운드리 격차 더 벌리는 TSMC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