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식약처 "생리대 안전성 재확인"…시민단체 "건강피해 입증 못해"


생리대 안전성 논란 재점화…환경부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 '주목'

[아이뉴스24 윤지혜 기자] 생리대 안전성 논란을 두고 정부와 시민단체가 또다시 맞붙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중 유통 중인 생리대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이 인체 유해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발표한 반면, 시민단체는 식약처가 안일한 조사방법으로 여성들의 건강 피해를 외면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13일 식약처는 생리대·팬티라이너·탐폰 등 297개 제품을 대상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검출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모니터링 결과 VOCs는 지난해 검사 때와 유사한 수준이었고 농약(14종)과 다환방향탄화수소류(PAHs 3종)는 검출되지 않았다. 아크릴산은 더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식약처는 국내 생리대 제조업체 빅5(유한킴벌리·엘지유니참·깨끗한나라·한국피앤지·웰크론헬스케어)의 생리대에서도 VOCs 검출량이 작년보다 줄었다고 밝혔다. 작년 말 5개사와 정례협의체를 구성하고 제조공정 등을 개선한 결과, 생리대의 VOCs는 전년 대비 66%, 팬티라이너는 65% 수준으로 줄었다는 설명이다.

또 생리대·팬티라이너·탐폰 126개 제품을 대상으로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류' 등 유해물질 16종에 대한 위해평가를 실시한 결과,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메톡시에칠프탈레이트(DMEP) 등 11종은 전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디에칠헥실프탈레이트(DEHP) 등 5종은 검출됐지만 유해한 수준은 아니었다.

작년 9월에 이어 사실상 생리대가 안전하다고 결론을 내린 셈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작년 생리대 파동 이후 꺾였던 국내 생리대 판매량이 점점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남은 생리대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생리대 안전하다면 여성 건강 피해 왜 발생했나"

반면 생리대 위해성 문제를 처음으로 제기했던 시민단체계의 반응은 차갑다.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행동네트워크(생리대 행동)는 이날 논평을 내고 "식약처가 생리대 사용으로 인한 여성들의 건강 피해를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정물질의 전신노출량과 독성참고치를 비교하는 식약처 조사 방법으로는 생리통 증가, 생리양 감소 등 여성들이 겪고 있는 건강 이상 증상을 설명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실제 환경부가 지난 10월 국회에 제출한 '생리대 건강영향조사(예비조사) 결과 요약'에 따르면, 응답자의 54.3%가 일회용 생리대 사용 후 생리통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덩어리 혈 증가(44.8%), 생리양 감소(38.9%), 가려움증 증가(33.8%), 생리혈색 변화(31.3%) 등의 답변도 뒤를 이었다.

환경부는 다음 주 생리대가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생리대 행동 측은 "특정 물질이 위험하지 않는 것으로 계산됐다고 해서 실제 피해 입은 여성들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더욱이 환경부의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가 발표되지 않는 상황에서 식약처의 이번 발표는 자칫 생리대의 안전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처럼 왜곡돼 해석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또 식약처가 생리대 제조업체 빅5로 구성된 정례협의체의 자체 조사결과를 공인된 시험결과인 것처럼 발표하는 것 역시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 관계자는 "식약처 자체조사와 정례협의체 모니터링 결과 모두 공인검사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실시했으므로 신뢰도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답했다.

여성들의 건강 피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는 지적에 대해선 "건강영향조사는 환경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부분이라 그쪽 모니터링 결과를 봐야 할 것 같다"며 "다만 여러 가지 모델링을 통해 안전 수준을 설정했기 때문에 현재 과학적 수준에선 생리대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윤지혜기자 ji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식약처 "생리대 안전성 재확인"…시민단체 "건강피해 입증 못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