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SW산업을 살리자 - 7] SW 품질관리 '먼 길'


 

대기업 중심의 왜곡된 유통구조가 개선되고 제값받는 풍토가 자리잡는다면 소프트웨어(SW) 산업의 문제는 모두 해결되는 것인가.

이 대목에서 또 한 가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대형 SW개발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구축, 운영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다. '어떻게 SW의 품질을 높일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없다면 모든 게 '도로아미타불'이 된다는 얘기다.

이런 현실에서는 어떤 정책이나 대책도 단기 처방에 불과할 뿐 장기적으로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주지 않는다. 게다가 해외에 내다파는 건 더욱 어렵다.

SW 산업의 '품질 향상' 문제는 2가지 면에서 볼 수 있다.

하나는 공급자의 노력에 해당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요자 혹은 제3자의 몫이다.

SW업계는 CMMI 같은 국제 품질평가 모델을 적용해서 정보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는데 눈을 돌려야 하고 수요자(또는 정부)는 프로젝트관리소(PMO)를 도입하거나, 감리를 의무화해서 구축된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도 SW의 승승장구 비결 '품질'

'전세계 SW개발 프로젝트중 28%만 성공한다.'(Standish Group, 'Chaos Report 2001')

나머지는 고객 요구를 반영하는데 미흡하거나 계획을 잘 못 세워 실패한다. 바로 '품질 문제' 때문이다.

인도 SW는 다르다. 국제적인 품질 기준에 맞게 만드니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김광호 포스데이타 사장은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SW 분야의 국제 품질 인증인 CMMI 레벨 5를 획득한 전세계 8개 기업중 6개가 인도 기업일 만큼, 인도 SW 기업들은 품질문제에 남다른 노력을 하고 있다"며 "이는 생산된 SW중 79%를 해외에 내다파는 저력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생산 대비 수출 비중이 2.5%에 불과한 우리와 비교하면 굉장하다.

IT 공급 과잉에 시달리는 국내 현실에서 품질을 높여 시장을 넓히는 인도 기업들의 전략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가별 SW 수출비중(출처: 한국정보통신수출진흥센터, 단위 : 백만달러)

구분 SW생산 SW수출 수출 비중
한국 20,814 520 2.5%
아일랜드 11,095 10,398 93.7%
인도 12,500 9,880 79.0%
이스라엘 4,714 3,451 73.2%
캐나다 7,610 3,958 52.0%
*한국 '03년 추정치, 인도 이스라엘 아일랜드 캐나다는 '02년 기준.

다행히 최근 몇 년 동안 우리 기업들도 앞다퉈 국제 SW 품질 인증 획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국내 최초로 CMMI 레벨 5를 획득한 포스데이타를 비롯해 삼성SDS, LG CNS, SK C&C, 쌍용정보통신 같은 대기업과 핸디소프트, 버추얼텍 등 벤처기업들도 CMM/CMMI 획득에 한창이다.

SW 선진국인 인도보다는 못하나, 품질경영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있다. 다행스런 일이다.

코윈솔루션, AB&I, 투이컨설팅 등 CMM/CMMI 컨설팅 전문업체도 등장했다.

AB&I 같은 기업은 국내 최초로 'CMMI 공인 교육(Introduction to CMMI) 과정'을 국내에 개설하기도 했다.

지금까진 미국 소프트웨어공학연구소(SEI)를 직접 방문해 교육받거나, 외국인 SEI 공인 CMMI 강사를 초빙해야 했다.

이러한 변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먼 길이다.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개선에 대한 노력은 '비즈니스가 제대로 자리를 잡은 후'로 밀려나기 마련이다.

김광호 포스데이타 사장은 "국제표준에 맞게 SW업체의 프로세스를 바꿔간다는 것은 프로젝트의 결함률을 줄여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것 외에도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직원들의 시간과 일정 관리, 성공 및 실패 프로젝트당 투입된 원가 관리 등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게 돼 인사 관리 같은 경영전반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W 프로세스를 국제표준화하는 게 지식경영과도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자기 경쟁력 강화의 일환이라는 얘기다.

◆감리 의무 입법화에 관심...감리 대가 기준도 정립돼야

감리 의무화도 중요한 문제다. 소프트웨어의 품질 관리를 강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한 공공 프로젝트 만큼은 감리 의무화가 시급하다.

정부는 한때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에 감리 의무화 조항을 넣으려 했지만, 준비 부족을 이유로 감사원이 반대하면서 입법화되지 못했다.

하지만 정보통신부가 '공공정보기술관리혁신법(가칭 정보기술의 도입 운영등의 효율화에 관한 법)'의 입법화를 추진하면서 올해 안에 국회에 상정될 전망이다.

이 법안의 골자는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 프로젝트는 감리를 의무화하자는 것.

건설 분야인 GIS(지리정보시스템)나 서울시의 독자 발주 프로젝트(1억원 이상)는 감리가 의무화돼 있다. 하지만 다른 분야는 의무화돼 있지 않다.

이현옥 한국전산원 감리연구팀장은 "정보화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되려면 관리 측면이 상당히 중요하다"며 "공사중지 명령권까지 갖고 있는 건설 분야의 수시감리는 아니더라도 감리 수행 후 방향을 제시하는 컨설팅 기능은 IT 감리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또 감리업무의 독립성 보장과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자와는 독립적인 위치의 사업자가 감리업무를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그동안 감리 전문업체들은 감리업무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높이려면 법에서 별도 사업자를 지정하거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해 왔다. 외국계 컨설팅 회사나 SI 회사의 감리 시장 진출이 활발한 가운데, 어떤 기준이 있어야 객관적인 감리가 가능하다고 주장해 온 것.

하지만 이번에 추진되는 감리 의무화법에서는 감리 업체에 대한 별 다른 규정은 두지 않을 전망이다.

이현옥 감리연구팀장은 "감리업체에 대한 자격기준을 정하기보다는 감리인에 대한 자격을 주는 정도로 논의되고 있다"며 "하지만 보다 현실적인 감리비 산정을 위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어, 이르면 2007년에는 기존 공수방식(사람수를 기준으로 하는 대가산정)과 다른 별도의 감리비 산정기준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전산원은 지난해 자체 발주 사업에 대한 감리업체를 선정하면서, 기존 공수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을 채택했다. 몇 명이 얼마 동안 투입돼야 하는가의 기준을 없앤 대신, 감리비 전체의 크기를 정하고, 감리 업체들이 자유롭게 제안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머릿수를 기준으로 하는 현행 SW 사업대가 기준이나 감리비 산정 기준을 바꾸는 첫시도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SW의 사업의 대가를 산정하는데 투입된 사람 수만 기준으로 삼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이다.

수요자는 SW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제값을 준다. 동시에 제값을 준 만큼 철저한 품질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질적인 완성도를 공급업체에 강요한다. 이렇게 해서 완성도 높은 SW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과연 누구에게 이득이 되는가.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의 '윈윈'을 위한 원칙이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SW산업을 살리자 - 7] SW 품질관리 '먼 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