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연중기획 : 따뜻한 디지털] 지자체 사이버 교육 활성화 시급


 

지방자치 단체들이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사이버 정보화 교육이 예산부족, 관심부족 등으로 지극히 낙후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재는 지자체들의 사이버 정보화교육을 활성화 시킬만한 제도적 장치도 미비한 실정이어서 당분간은 활성화될 여지도 커보이지 않는다.

이는 정부의 정보화 교육이 수도권 중심으로 치우쳐 있고 지방으로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 국민이 골고루 정보화 되지 못하면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는 의미가 없고,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서울시, 부산시 등 대도시나 도(道)는 그나마 상대적으로 활성돼 있지만 여타 도·시는 침체돼 있어 지역간 정보화격차를 더욱 키우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4년 말로 인터넷 이용률이 70%를 넘어섰다. 국민 대부분이 마치 수도를 사용하듯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보화 교육은 이제 중앙정부의 '몰이식'에서 벗어나 지자체가 지역적 특성에 맞게 해나가야 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활성화를 통한 풀뿌리 민주주 실현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돈이 없어요"

거의 대부분의 사이버 정보화 사이트를 담당하는 지자체 관계자들이 공통으로 하는 말이 '예산부족' 이었다. 경기도가 운영하는 'e캠퍼스(ecampus.kg21.net)의 지난해 콘텐츠 확보 예산은 '제로'였다. 경기도는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다. 2004년에는 관련 예산이 5천만원에 달했고, 올해도 3천500만원이나 확보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시도에서 콘텐츠 확보용 예산이 아예 없거나 있어도 유명무실한 수준이다. 가장 '부자'라고 할 수 있는 서울의 강남구청마저 올해 사이버정보화교육장에서 컴퓨터 강좌 콘텐츠 구매 예산으로 확보한 것이 300만원이다. 그나마 지난해는 단 한푼도 없었다.

제주도청사이버정보화교육장(cyberedu.jeju.go.kr) 관계자는 "콘텐츠 구입 예산이 부족하다보니 사이트 개편 등은 신경쓰기 어렵다"면서 "오는 7월 제주시 행정구역 개편때 통합 리뉴얼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춘천시사이버정보화교육장(cyberedu.chuncheon.go.kr/cyberedu) 담당자도 "지난해 7월 사이트를 오픈해 현재 회원수가 515명에 불과하다"면서 "콘텐츠가 부족해 구매해 와야 하는데 시의 예산 배정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다"고 털어놨다.

컴퓨터 교육 콘텐츠가 이미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또 필요하면 중앙정부(한국정보문화진흥원)로부터 무료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예산이 필요 없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컴퓨터는 끊임 없이 진화하고 있어 새로운 교육이 필요하다. 또 사이버 정보화 교육은 컴퓨터에 관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외국어, 교양강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할 수 있다. 나아가 지자체 고유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지방의 콘텐츠 산업을 육성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이같은 관점에서 보면 현재와 같은 예산부족은 결국 지방자치단체들의 관심부족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

지자체의 관심부족은 또 다른 사례에서도 잘 들어난다. 정부의 정보격차해소 전담기구인 한국정보문화진흥원(KADO)은 자체 운영하는 '배움나라'를 통해 컴퓨터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해 원하는 지자체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40개 기관에 공문을 보냈으나 콘텐츠를 달라고 한 곳은 겨우 9개 기관뿐이었다.

이에대해 한 지자체 관계자는 "무료이긴 하지만 받아봐야 관리하는 사람 둬야죠. 사이트 관리해야죠 귀찮기만 합니다"라고 말했다.

지자체가 이같이 무관심하고, 콘텐츠도 부실하다 보니 그나마 만들어 놓은 사이버 교육마저도 100% 무료 임에도 불구하고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이 많지 않다. 춘천시가 500여명이라고 밝힌 것 처럼, 경기도 2만여명, 부산 1만여명, 인천 7천여명 등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는 곳에도 회원수는 기대 이하였다. 서울 강남구청이 지난해 1만 5천명이 수강한 것과 비교가 된다.

◆빈익빈 부익부 현상 뚜렷

전반적인 낙후에도 불구하고 서울, 부산, 인천 등 대도시는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어 지역간 정보화 격차를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2002년 5월 사이트 오픈한 서울시청이 운영하는 서울시민인터넷 교실(cyberedu.seoul.go.kr)은 지난해 3만9천명이 수강을 했으며 현재 회원수가 13만명에 이른다. 사이트 관리자 백원기씨는 "매년 수강인이 20~30%씩 증가하고 있어 올해는 4만5천~5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컴퓨터기초, 윈도 오피스, 자격증 대비, 홈페이지 제작 등 총 43개 과정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갖춰져 있다. 특히 서울시는 '튜터제도'를 도입해 전문가가 과정별로 지도를 해주고, 'PC 해결사'라는 원격시스템을 전국에서 유일하게 운영해 인터넷 사용에 문제가 생긴 회원들을 원격으로 지원해 준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한컴캠퍼스와 제휴해 전문가 2명을 상주시키고 있다.

2004년 1월 오픈한 부산광역시사이버정보화교육(estudy.busan.go.kr)은 현재 회원수 1만여명을 보유하고 있다. 총 19개 과정의 교육 중 12개 과정은 정보문화진흥원으로부터 받은 것이고 나머지 7개는 자체 제작한 콘텐츠다.

부산시는 올해 정보화 자격증 과정, 인터넷 상거래 과정 등 중급 위주로 총 20종의 강의를 추가할 계획이며 이중 10개는 이미 제작에 들어갔다. 이와함께 외국어강좌와 지식강좌 등도 별도로 기획 중이다. 특히 그동안 자료실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해온 커뮤니티 코너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조만간 개인 블로그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함께 사이트 홍보강화를 위해 부산시 사이트 메인화면에 표출시키는 방안도 컴토중이다.

지난해 10월 4일 뒤늦게 오픈한 인천사이버교육센터(www.cyber.incheon.kr)는 3달여 만에 회원수 7천명을 돌파하는 등 비교적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사이트 관리자 임수철씨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한 것들 중 시민들이 알면 좋은 내용들을 올리는 '행정실무'코너를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영어, 중국, 일본어 등 외국어 강좌 12개를 2년 전에 6천만원에 구매했다"고 소개했다.

인천시는 특히 교양코너를 별도로 운영해 시민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여기에는 ▲성인병 예방을 위한 운동법 ▲사이버아시아여행 ▲인천의 역사 ▲커뮤니케이션스킬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들이 담겨져 있다.

올 하반기에는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현재 자원봉사를 원하는 사람은 지정된 센터에 직접 가서 2~3시간을 교육받아야 하는데 온라인화 하면 집에서 필요할 때 언제든지 강의를 듣고 자원봉사에 나설 수 있어 편리하다. 인천시는 이 콘텐츠를 원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밖에 2001년 말 오픈한 경상남도(edu.gsnd.net)도 올들어 지난 16일 사이트를 개편해 외국어, 교양강좌 등을 추가했다. 특히 교양강좌에는 도정(道政)강좌 코너를 마련 도의 행정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주요 공공부문 온라인교육 운영기관 현황

기관명 운영사이트 URL
서울시청 cyberedu.seoul.go.kr
경남도청 edu.gsnd.net
춘천시청 cyberedu.chuncheon.go.kr/cyberedu
인천시청 www.cyber.incheon.kr
부산시청 estudy.busan.go.kr
제주도청 cyberedu.jeju.go.kr
전북도청 edu.ejeonbuk.net
울산시청 istudy.ulsan.go.kr

◆활성화 대책은 없나

우선 각 지자체가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콘텐츠를 자금의 여유가 있는 중앙 정부가 제작 또는 구매해 배포하는 방법이 현실적이다.

정보문화 진흥원(KADO)은 2002년에 2개 기관에 컴퓨터 교육에 대한 18개 과정을 무료로 보급한데 이어 지난해 9개 기관에 90개 과정을 보급하는 등 지금까지 21개기관에 총 247개 과정을 제공했다.

KADO의 이같은 활동은 예산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자체간 예산의 중복투자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활성화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지자체 사이버 교육을 총괄할 조직이나 기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기관이 각 지자체의 교육수요를 파악해 공통의 콘텐츠를 제작해 배포하는 한편 작지만 지자체별로 개발 콘텐츠를 분담해 개발케 하고 이를 서로 공유토록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도 공무원 사이버교육지침(4항)에는 지자체가 자체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타 지자체에서 이미 개발된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개발 후에는 필요한 지자체가 요구할 경우 무료로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지자체간에 콘텐츠를 교류한 경우는 없다. 대부분의 지자체가 영세한 예산으로 콘텐츠을 제작하기 보다는 민간이 제작한 것을 손쉽게 구매해버리기 때문에 지재권을 갖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기업이나 비영리 단체가 보유한 콘텐츠를 정부가 구매하거나, 기증을 받는 방안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실제로 제주도, 경상남도 등에서는 대우재단에서 무료로 기증받은 훌륭한 콘텐츠를 사이트에 올려놓고 있다.

이 콘텐의 내용을 보면 ▲조선시대의 역사와 문화 ▲문화와 생활로 보는 한국사 ▲식생활과 건강 ▲종교와 과학 ▲프랑스혁명의 역사적 이해 ▲우주의 생성과 진화 ▲눈으로 보는 독일 문화 ▲20세기 대표 사상가 마르틴 하이데거 ▲중국신화의 이해 ▲직장내 성희롱의 유형과 대처 방안 등 다양하다.

백재현기자 bria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연중기획 : 따뜻한 디지털] 지자체 사이버 교육 활성화 시급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